매립지 종료 등 미해결 사안 중심
市, 부서별 취합 정책 공약집 준비
지역 경제계도 전달 내용 정리 착수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열리면서 인천 현안을 대선 후보군들에게 알리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2022년 20대 대선을 앞두고 각 후보 캠프에 공약으로 반영됐으나 여전히 풀리지 않은 사안들이 많은 가운데, 인천시와 지역 경제계 등이 숙원 사업을 풀기 위한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인천시는 21대 대선을 앞두고 지역 현안을 준비하는 작업을 시작했다고 8일 밝혔다. 20대 대선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둔 2021년 9월 ‘인천지역 공약 20선’을 준비했는데, 조기 대선이 열리는 올해도 정책 공약을 마련할 계획이다.
20대 대선 전 준비한 지역 공약 20선은 인천시가 정부·정당에 건의한 사항과 인천연구원 정책 연구, 시민 체감형 정책 등을 중심으로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이 높은 5개 분야 20대 과제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현재 해결되지 않은 주요 현안은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종료’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 ‘경인선 지하화’ ‘인천 제2의료원 및 영종지역 국립대병원 분원 설립’ 등이 있다.
해당 정책들은 이번 21대 대선에도 반영될 전망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조기 대선을 앞두고 현재 진행 중이거나 해결되지 않은 현안 중심으로 정책 공약집을 준비할 예정”이라고 했다.
인천지역 경제계도 대선 후보들에게 건의할 내용을 정리하는 작업에 곧 착수할 예정이다. 인천상공회의소와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인천경실련)은 2021년 11월 ‘인천경제주권 어젠다’를 마련해 주요 정당 인천시당에 전한 바 있다.
9개 정책, 36개 실천 과제로 구성된 인천경제주권 어젠다는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과밀억제권역으로 지정된 인천지역 규제를 완화하고,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과 항공정비산업(MRO) 및 공항경제권 구축, 산업단지 구조 고도화 및 문화·여가 복합공간 조성 등이 담겼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해결되지 못한 수도권 규제 완화와 공항경제권 육성, 산업단지 구조 고도화 등의 내용이 이번 대선에 출마하는 각 후보 캠프에 전달될 예정이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조기 대선인 만큼 시간이 촉박하나, 중앙정부와 국회가 나서서 풀어야 할 지역경제 현안이 산적해 있다”며 “지역 경제단체 의견을 수렴해 공약집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