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수은 지역사회부(의왕) 차장
송수은 지역사회부(의왕) 차장

오는 6월3일 대통령선거가 치러지고 나면 1년 뒤 같은 날 민선9기 출범을 위한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진행된다. 올해 1월이 되자마자 여러 지역에서 시장 출마를 위한 후보군이 공무원들 사이에서 거론되고 있고, 그에 대한 평가까지 잇따르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자신이 잘 알고 있거나 선호하는 인사가 선거에 나선다면 그를 선택하겠지만, 대체로 자신의 선호 정당을 기초로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안타깝게도 이번 대통령 선거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인용으로 인해 진행되는 탓에 상당수 시민들이 정치적인 피로도를 상당히 느껴 특정 정당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을 해놓고 내년 선거까지 자신의 선택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선택은 시민들의 자유다. 그러나 다양성을 기초로 한 시민의 판단이 더욱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수원의 지자체장과 5개 선거구 국회의원은 모두 한 정당이다. 안양시 역시 마찬가지이며 군포·광명·시흥·부천시 등 수도권 서남부권 지자체가 대체로 비슷한 양상이다. 이같은 상황이 이어지면 지자체 간 경쟁이나 견제는커녕 지역구 국회의원도 거의 같은 정당이기에 경쟁이 없다. 수원 팔달경찰서의 경우 2012년 수원시 지동에서 불거진 오원춘 사건으로 인해 재발방지 차원에서 신설이 결정됐다. 그런데 13년만인 올해 상반기에나 준공한다. 2년 정도면 20층짜리 건물도 짓는 시대에서 이렇게 지연된 데에는 부지 선정 지연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지자체나 지역 정치권의 안일함도 한몫하지 않았을까 싶다.

시민들은 자신의 소중한 권리를 행사해 좋은 시장·군수를 뽑아 놓고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어한다. 더욱 편안한 4년을 보장받기 바란다면 행정력 확인을 위한 선거 후보자의 공보물을 잘 살펴보고, 직·간접적으로라도 선택을 위한 판단을 지속해야 한다.

지방선거 출마 후보자들도 정당에 기대어 공천을 위한 노력만 일삼지 말고, 행정력을 이행할 수 있는 보좌인력을 편성해 당선 후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송수은 지역사회부(의왕) 차장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