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선거인단 모집 통한 국민 여론 수렴 대신

여론조사 기관 2곳 통해 100만명 의견 구해

김동연·김두관 측 “당사자와 협의 없었다” 반발

12일 오후 광명 신안산선 공사 붕괴 사고 현장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사고 현장을 살핀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4.12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12일 오후 광명 신안산선 공사 붕괴 사고 현장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사고 현장을 살핀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4.12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더불어민주당이 기존 경선 방식 대신 권리당원 투표·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 반영해 대선 후보를 선출키로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비명계 주자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제정키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걸쳐 순회 경선을 치른다. 또 권리당원 투표에 16~18세 청소년 당원이 처음으로 참여한다. 2022년 1월 정당법 개정으로 정당 가입 연령 하한이 18세에서 16세로 낮아진 데 따른 것이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한다. 당초 민주당은 대선 경선 때 선거인단을 모집해 일반 국민 여론을 수렴했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식은 외부 세력이 개입해 조직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조기 대선 특성상 선거인단을 모집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이 12일 대선 후보 선출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당원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더불어민주당 제공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이 12일 대선 후보 선출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당원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더불어민주당 제공

위원회의 이런 결정에 김 지사를 비롯한 비명계 주자들 측은 반대했다. 김 지사 측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된 16대 대선 경선부터 지난 20대 대선 경선까지 모두 국민 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 룰을 바꾸려면 후보 당사자 측과 함께 논의 테이블을 만들어 납득할만한 룰을 도출해야 한다”며 “국민 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출장을 마치자마자 광명 지하터널 공사 붕괴 사고 현장을 찾은 김 지사도 경선룰에 대한 질문을 받고 “사고 현장에서 답하는 게 적절할지 모르겠다”면서도 “하고 싶은 얘기가 많다”고 아쉬움을 내비쳤다.

김두관 전 의원은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경선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비민주적으로 했다”고 비판했다. 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어대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하겠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