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사각해소 지체 우려
경기북부·강원·충북 등 4곳 공모
탑승자격 등 관련지침 개정 불구
道 차원 협조요청 외엔 대안 부재

의료 취약 지역인 경기북부 지역을 포함해 전국 4개 지역에 ‘응급의료 전용헬기(닥터헬기)’를 배치하는 사업이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응급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닥터헬기가 없는 지역에 배치병원을 모집하고 있지만, 인력 부족 등 현실적인 문제로 병원들이 닥터헬기 운영을 꺼려서다.
올해 의정 갈등이 회복되면 의료 인력 충원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상황을 지켜만 볼 뿐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응급의료 사각지대 해소가 늦어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28일부터 ‘경기북부 지역 닥터헬기 배치병원 모집’에 나섰다. 도는 14일까지 경기북부 지역 내 신청 자격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중 1개소를 선정해 닥터헬기를 배치·운용할 방침이다.
이는 정부의 닥터헬기 추가 배치 계획에 따른 것으로, 정부는 지난해부터 경기북부뿐만 아니라 닥터헬기가 없는 강원·충북·부산경남 등 4개 권역에 닥터헬기 배치 공모를 추진중이다.
현재 전국에 닥터헬기가 설치된 지역은 경기(아주대병원), 인천(가천대 길병원), 전남(목포한국병원), 강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경북(안동병원), 충남(단국대병원), 전북(원광대병원), 제주(제주한라병원) 등 8개다.
정부는 당초 지난해와 올해 각각 1개, 총 2개 지역에 닥터헬기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었지만, 지난해 신청한 병원이 없어 올해 2개 지역을 선정하기로 했다.
정부와 도는 참여 병원이 없었던 이유로 응급의료 인력 수급 문제 비용 부담 등을 꼽았다. 지난해 발발한 의정 갈등의 여파로 의료 현장에 인력이 부족했고, 지원 예산 외 병원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 부담이 크단 것이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올해 초 닥터헬기 탑승 자격을 확대하는 등 원활한 인력 수급을 위해 관련 지침을 개정했다. 다만, 예산은 지난해와 같은 병원 1개소당 8억원을 편성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올해 의정 갈등이 해소되면 인력 수급 문제는 전보다 원활할 것으로 예상하며 상황을 지켜보겠단 입장이지만, 마땅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경기북부쪽에는 헬기를 배치해서 운영할 수 있을 정도의 큰 병원이 많이 없다 보니 상황이 녹록지 않다. 의사 인력 자체가 많이 없는 상황에서 헬기에 탑승해야 하는 의료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도 차원에서도 병원과 시군에 계속 협조 요청을 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자체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해서 반영하려고 하고 있다”며 “올해 의정 갈등이 해소가 되면 어느 정도 인력 수급 문제가 해결될 여지가 있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답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