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급 구인난’ 공모로 과장급 발탁

내부 물갈이 인사 혼란·진료 차질도

“공공의료원 계기 연봉특례등 필요”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의사 보건소장’ 확보에 안간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비의료인이 보건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양주시에서 공공의료원 유치를 계기로 전문성 확보를 위해 보건소장 채용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양주시보건소는 지난해 1월 인사 때 한 차례 홍역을 치렀다. 과장급 공무원이 소장 채용 공모에 응시해 취임한 후 물갈이 인사 등이 벌어지면서 시의회로부터 ‘인사 참사’란 질타를 받았다. 이전에도 일선 보건진료소의 잦은 진료 차질로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인사 당시에도 한동안 진료소장 공백으로 일부 지역 진료소가 업무 차질을 빚기도 했다.

지역 의료계에선 의사면허 소지자 채용이 갈수록 어려워지자 차선책으로 공무원을 소장으로 앉히면서 생긴 현상이라는 시각이다.

양주시에서도 당시 소장 채용공고를 두 차례에 걸쳐 냈지만 의료인 지원자는 한 명도 없었다. 결국 개방형 모집을 통해 내부 공무원을 뽑을 수밖에 없었다. 이렇다 보니 상급자와 하급자의 서열이 바뀌거나 물갈이 인사가 일어났다. 보건소 내부에서도 시선이 고울 리 없다.

양주지역에는 응급의료기관이 없을 뿐 아니라 동서 의료 격차도 있어 인구가 적고 도시화가 덜 된 서부지역에는 보건소 진료 서비스 의존이 여전히 높다. 의료 격차가 아니더라도 코로나19와 같은 비상 상황에는 의료팀을 현장에 파견하고 지휘해야 하는 등 보건소장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양주에는 공공의료원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설립 과정에서 보건소의 전문적인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구인난을 이유로 번번이 공무원 보건소장을 두기도 어려워 보인다.

현실적으로 현 보건소장 처우로는 의료인 소장을 채용하기 어려워 타 지자체에서는 연봉책정 특례를 활용해 구인에 나서기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기북부지역의 한 의사회 관계자는 “연봉 현실화 등 보건소장에 대한 처우 개선 없이는 구인난은 쉽게 풀기 어려워 보인다”며 “공중보건의 중요성과 전문성에 비춰봤을 때 가능한 의료인 채용이 권고돼야 한다”고 말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