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지역 시민단체 “점진적 폐쇄 등 대안 논의 필요”

‘군 공항 이전 지원 조례안’ 두고 “고통 전가받는 방식 지양”

14일 오후 2시 경기도의회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수원군공항이전 및 경기통합국제공항추진 시민협의회는 군공항으로 인한 수원·화성 시민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양 시가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025.4.14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
14일 오후 2시 경기도의회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수원군공항이전 및 경기통합국제공항추진 시민협의회는 군공항으로 인한 수원·화성 시민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양 시가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025.4.14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

수원과 화성의 갈등으로 번진 군공항 이전 문제(4월10일 인터넷 보도)를 두고 수원지역 시민단체가 ‘공동의 고통’임을 강조하며 대화와 협력을 통한 해법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 두고 도의회에서 찬반 양론 격돌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 두고 도의회에서 찬반 양론 격돌

사회와 정치권의 논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10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문병근(국·수원11) 의원은 지난 3월 ‘경기도 군 공항 이전 지원 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 조례안은 경기도가 군공항 이전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외협력관을 둘 수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5744

14일 오후 2시 경기도의회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수원군공항이전 및 경기통합국제공항추진 시민협의회는 군공항으로 인한 수원·화성 시민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양 시가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화성시의 우려와 반대 입장을 이해한다”면서도, 도심 속 군공항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아닌 협의와 공론화의 방식으로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협의회는 최근 문병근 경기도의원이 발의한 ‘군 공항 이전 지원 조례안’을 두고 화성 지역의 반대가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 “군공항으로 인한 고통을 한쪽이 전가받는 방식은 지양해야 하며, 군공항 이전 또는 점진적 폐쇄 등 다양한 대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화성시 범대위 위원장이 ‘노후 전투기 비행 중단과 점진적 폐쇄’ 등을 주제로 한 공론화 추진 시 참여를 검토하겠다고 언급한 점을 언급하며, 수원시 역시 협의와 공론화의 장에 성의 있게 참여할 뜻이 있음을 내비쳤다.

아울러 군공항 관련 피해가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 만큼, 소음 피해 보상 현실화와 고도제한 완화 등 공동의 과제를 놓고 양측이 협력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실제 군공항 소음으로 인한 보상 대상자는 각각 수원 4만9천명·화성 3만명에 이르며, 화성시 40.35㎢ 면적은 고도제한으로 각종 개발에 제약을 받고 있다. 도 교육청 자료에 따르면 두 지자체 소재 100여 개 학교 학생들이 비행 소음 아래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협의회는 “경기도 역시 수원과 화성 시민들이 겪는 피해를 더 이상 외면해선 안 된다”며 “군공항 조례안의 통과 여부를 떠나, 경기도가 갈등 해소와 공동 대응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방부를 향해서도 “지역 주민의 고통을 방관하지 말고 갈등 해결에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끝으로 협의회는 “우리는 대립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해묵은 갈등을 넘고 함께 해법을 모색하는 진정한 공동체로서 수원과 화성이 함께 성장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취재진과 질의응답에 나선 조철상 협의회 회장은 “2022년 5월 당시 윤석열 당선인이 수원에 방문해 군공항 이전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고 밝혔지만, 이후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했다”며 “이 문제는 지자체 간 갈등을 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나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군공항 이전 논의는 문병근 도의원이 지난달 25일 ‘군 공항 이전 지원 조례안’을 발의하며 본격화됐다. 이후 시민협의회는 3월 31일과 지난 7일 두 차례에 걸쳐 문 의원과 간담회를 진행했고, 화성 지역 반대단체는 지난 10일 조례 철회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통해 국방부 등에 전투비행장 폐쇄 결정을 촉구하고 있다.

/유혜연·한규준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