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침하’ 전수조사 필요성
지하 시설밀집, 영향 파악 어려워
“신안산선 신뢰되는 공법 불구…
각 현장의 지반 상태 정밀조사를”
정부, 두달간 2만여곳 ‘집중점검’

경기도 내에서 우후죽순 파고드는 지하 토목공사들로 지반침하사고 피해와 우려가 늘자,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의 안전 강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의 지반침하 비중이 큰 만큼, 지하 토목공사와 관련한 정부의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14일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583건의 지반침하사고 중 경기도가 126건(21%)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기범 경일대 건축토목공학과 교수는 “현재 수도권의 지하공간에 과거보다 많은 시설들이 들어가다 보니, 어떤 영향과 간섭이 지반에 미칠 것인가 등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신안산선 사고처럼 어떻게 지반침하가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다는 게 불안으로 작용하고 있어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전반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지반 상태에 대한 정밀 조사를 통해 향후 진행되는 지하 토목공사들의 공법 점검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앞서 경인일보는 감사원이 이미 붕괴사고 발생 2년 전 신안산선 5-2공구 공사 현장에 대해 지반상태가 ‘매우 불량’하다고 경고한 점을 단독 보도했다.
이번 붕괴사고가 발생한 신안산선의 추후 공사 재개뿐 아니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와 C노선 등 도내에선 대규모 도시·광역철도 노선들의 공사가 향후 예정돼 있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이번 신안산선 5-2공구 터널에 쓰인 공법은 원래 신뢰되는 공법인데도 사고가 발생했다. 감사원의 경고가 있었는데 사고 예방이 안된 것처럼 각 공사현장의 지반상태가 공법에 맞고 안정적인지 안전 시스템을 다시 한번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실제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도 국무회의에서 “최근 싱크홀 사고 등으로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오늘부터 두 달간 전국적으로 공사장, 건축물 등 안전 취약시설 2만2천여곳에 대한 ‘집중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신안산선 광명구간 붕괴사고에 이어 지반침하사고가 반복해서 발생하자, 정부가 취약시설에 대한 대대적 점검에 나선 것이다. 이날 오후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구역에서도 지반침하가 발생해 이동을 통제하고 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