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대선 정당 후보자 등록 마감

‘역선택 방지’ 고수 개방성 제한

오세훈·유승민·김두관 불참 선언

국힘 11명 22일 1차 컷 오프 진행

민주 3명… 유권자 관심끌기 실패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15일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등록을 마쳤지만, 당내 경선은 시작도 전에 김이 빠지는 모습이다. 각 당이 경선을 축소하거나 역선택 방지 조항을 고수하면서 개방성과 흥행 가능성을 스스로 제한했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은 중도 확장성이 있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이 경선 불참을 선언한 데 이어, 보수진영 차출론이 제기됐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접수가 어렵게 되면서 ‘컨벤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민주당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오픈프라이머리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채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한 경선 방식이 채택되자, 김두관 전 의원이 경선 불참을 선언하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구도가 굳어지는 양상이다. 사실상 대세론 굳히기에 들어간 이 전 대표지만, 경선 자체의 흥행은 식어가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 14일부터 양일간 경선 후보자 등록 결과 총 11명이 신청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가나다순)과 강성현 20대 대선 예비후보자, 김민숙 전 서영대학교 초빙교수, 정일권 전 22대 총선 무소속 출마자 등이 접수했다. 당 선관위는 이들에 대한 서류심사를 거쳐 16일 1차 경선 참여자를 결정하고 오는 22일 1차 컷오프를 통해 최종 본선 진출자 4명을 추린다.

민주당 역시 김두관 전 의원의 불참으로 이재명 독주 체제에 대한 긴장감이 느슨해지면서 유권자 관심을 끌어모으는 데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이날 접수한 후보자는 이재명 전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경수 전 경남 도지사 등 3명이다.

한 선거 전문가는 “양당 모두 ‘예측 가능한’ 경선으로 유권자들의 눈길을 끌지 못하면서, 본선 경쟁력 확보에도 적신호가 켜졌다”고 지적했다.

/정의종·하지은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