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지났지만 교실까지 스며든 냉소
관련수업 학교 온라인 ‘좌표’ 찍혀
교사, 필요성 느끼지만 민원에 꺼려
22대 국회 입법활동 결의안 1건뿐
정부 추모 활동 지원도 지속 감소

세월호 참사가 11주기를 맞은 가운데 교실에서 안전인식 교육 등을 이유로 편성한 세월호 수업에 학교가 온라인상의 ‘좌표찍기’를 당해 논란이다.
실제 학부모들의 민원이 이어지는 등 부정적 인식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인데, 정치권의 무관심이 더해지면서 참사 11주기에 대한 추모의 분위기가 예년만 못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14일 한 극우 유튜버는 ‘남양주시의 한 초등학교(에서) 세월호 수업?, 10년 전의 슬픔을 또 강요, 아이들이 뭘 안다고’라는 제목의 게시글을 통해 한 학교의 시간표 사진을 올렸다.

해당 시간표에는 15일 2~4교시 동안 ‘세월호 수업’이 편성돼 있었는데, ‘아이들을 사상교육 시킨다’, ‘학교에 민원 전화를 넣자’ 등 600개가 넘는 댓글에는 대부분 악플이 달린 상태다. 게시글은 6천개 넘는 ‘좋아요’를 받는 등 각종 커뮤니티와 포털에 공유되며 부정적 반응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교사들이 세월호 참사에 대한 수업 필요성을 높게 느끼는 반면 학부모 민원 등을 이유로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교사 9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71.2%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기 위해 관련 수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반면 세월호 참사를 언급하지 않는 이유로 민원에 대한 염려가 35.9%로 높게 나타났다.

교실까지 침투한 애도의 부정적 분위기는 참사를 바라보는 정치권의 정책적 무관심과 정쟁이 영향을 줬다는 게 세월호 관계자들과 단체들의 주요 반응이다.
지난해 4월 출범한 22대 국회에 이날까지 발의된 세월호 참사 관련 입법 활동은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권고 이행 촉구 등의 결의안 1건뿐인 것으로 확인됐다.
21대 국회에선 특별법 관련 개정안 등 9건의 의안이 발의됐고, 20대 국회는 31건이 발의됐다.
추모 활동을 위한 정부의 지원 역시 대폭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세월호 관련 기억과 추모, 안전문화 확산, 피해자 지원 및 공동체 회복 등 각종 사업을 총괄하는 ‘4·16재단’에 대한 행정안전부 예산은 지원 첫해인 지난 2019년 5억6천300만원에서 올해 3억3천만원으로 지속 감소했다. 4·16재단은 특별법에 근거해 만들어진 국가 재정 지원 비영리 민간단체다.
세월호 관련 시민단체인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활동에 대한 지원과 관심은 줄인 반면 정쟁으로 몰고 가면서 여전히 부정적 반응들이 존재한다”며 “10주기를 맞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11주기 행사를 진행하는 만큼, 더 많은 시민이 추모 행사에 나와 기억할 수 있도록 여러 단체가 연대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