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 지났거나 예정일 눈앞 ‘통보’
세학번 ‘함께 수업’ 1학년만 1만명
의료계 “교육 파행, 학생 설득 먼저”

경인지역 의과대학들이 미복귀 학생을 상대로 본격적인 유급 조치에 나선다.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24~26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 알립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통해 전국 의대·의전원 4학년 유급예정일을 공지했다. 아주대학교와 인하대학교는 유급 시한이 지났거나 이날까지이고, 차의과대학 의전원은 17일 유급예정일을 앞두고 있다.
통상 의대 유급은 학기 말에 소명 절차를 거쳐 결정되지만 올해는 학생들의 유급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학교가 정해진 시한이 도달하는 시점에 다양한 방법으로 유급 예정을 통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유급 조치를 결정한 대학들은 앞으로 학사 운영을 두고 고심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1학기 유급 시한 전에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24·25학번 입학생의 분리 교육이 어렵기 때문이다. KAMC는 “유급 시한 전 복귀하지 않을 경우 24학번의 2030년 여름 졸업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학업 기간을 확보할 수 없다”며 “협회와 정부 부처가 협의한 분리 교육이 소용이 없어진다”고 했다.
4학년 유급을 시작으로 예과생까지 대규모로 유급될 경우 24·25·26학번 학생이 수업을 함께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이 생길 수 있다. 26학번까지 1학년만 1만명이 넘어가면 의대 교육 인프라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캠퍼스 내 타과생들의 시선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그간 의대생들의 수업 불참에 대학이 미온적으로 대처하면서 불공정하다는 비판이 나와서다. 아주대에 재학 중인 윤모(21)씨는 “다른 과 학생들은 수업을 3~4번만 빠져도 F학점을 받는데, 의대생의 유급 조치는 검토 중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답답하다”며 “이번에는 학칙에 맞게 정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내 의료계는 의대 교육 파행을 막으려면 학생들을 설득하는 게 먼저라고 주장했다. 경기도의사회 관계자는 “무작정 유급 조치하겠다는 식의 태도는 갈등에 불을 붙일 뿐”이라며 “정원 동결 등 최소한의 조치를 약속하고 명확한 교육 청사진을 제공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마주영기자 mang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