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이형록 김포도시관리공사 사장이 ‘김포 이음시티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업을 둘러싼 각종 논란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2025.04.14. 김포/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
14일 이형록 김포도시관리공사 사장이 ‘김포 이음시티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업을 둘러싼 각종 논란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2025.04.14. 김포/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

김포에서 추진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 곳곳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김포한강시네폴리스는 막대한 손실이 복구되지 않았고, 풍무역세권은 불법 허가 논란이 일기도 했다. 김포한강시네폴리스 17년, 풍무역세권 10년, 감정4지구 8년 등 김포도시관리공사가 추진하는 사업은 각종 악재에 제대로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다.

김포한강시네폴리스 논란은 기막히다. 지난해 2월 감사원의 감사결과는 충격적이었다. 김포시는 허위계약서를 제출한 민간사업자를 선정하고, 사업 지도·감독을 소홀히 해 총 259억원의 손해를 초래했다. 자본금 1천만원짜리 회사(에스제이에셋파트너스)가 사업시행회사(한강시네폴리스개발PFV)의 최대주주가 된 뒤 과도한 인센티브 지급 계약으로 거액을 챙겼다. 은행 대출담당자, 증권사 PF담당자도 한통속이었다. PFV는 에스제이를 상대로 259억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현재 1심 진행 중이다. 하지만 에스제이는 2022년 감사원 감사가 시작되자 이익 규모를 급격히 줄이고 결손법인이 됐다. 승소한다 해도 손해를 복구할 길이 막막하다.

김포시 도시개발사업은 수뢰 혐의로도 얼룩졌다. 정하영 전 시장이 재판에 넘겨졌다. 감정4지구, 풍무7·8 지구와 관련해 뇌물 155억원을 약속받고 62억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민·관 합동 개발로 바꿔달라, 사업을 빨리 추진할 수 있게 해달라는 청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 김포시 정책자문관과 페이퍼컴퍼니 대표 등 8명이 불구속기소됐다. 시민의 세금으로 민간업체의 배를 불리고, 전 시장이 수뢰 혐의를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도시개발과 관련한 초대형 부조리와 비리가 연이어 터지자 김포시는 민간 도시개발사업을 공공 영역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이음시티’는 장기동과 감정동 일원 123만㎡ 부지에 사업비 2조4천억원 규모를 투입하는 대규모 민관 합동 개발사업이다. 최근 민간 참여 사업자 공모를 진행했으나 신청자가 없어 재공모 절차를 밟고 있다. 도시공사는 투명성 확보와 시민 편익 증대를 위해서 공영개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책 없이 민간업체에 퍼주던 개발 방식을 지양하겠다는 의지다. 하지만 기존 민간개발 추진 지역이 포함되다 보니 소송에 휘말렸다. 사업 지체가 불가피하다. 첫 단추를 잘못 꿴 바람에 김포 도시개발사업은 지체되고 시민들은 막대한 손실을 감당하는 악순환의 굴레 빠졌다. 김포 도시개발사업 이대로는 안 된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