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17개 지자체 대상 공모 신청

‘저렴한 전기 공급’ 기업 유치 도움

에너지 관리 플랫폼 도입 신산업도

인천 남동산업단지. /경인일보DB
인천 남동산업단지. /경인일보DB

산업통상자원부가 17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지정 사업에 인천시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등 인천 4개 산업단지에 분산특구가 조성되면 전력 자급자족이 가능하고, 입주 기업들이 저렴한 가격에 전기를 살 수 있어 기업 유치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산업부 ‘분산특구 지정 공모’에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인천지역 분산특구 후보 지역으로는 남동산단과 남동도시첨단산단(올해 12월 완공), 서구 검단일반산단과 검단2일반산단(2028년 완공) 등 4개다.

분산특구는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전력 생산 설비 용량이 작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사업자가 한국전력 전력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전기 사용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역이다. 전력을 사용하는 지역에서 생산·소비되는 분산에너지를 생산자와 사용자가 직접 거래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담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분산에너지법)이 지난해 6월 시행되면서 분산특구 조성 계획도 추진됐다.

인천시는 지난해 ‘인천형 분산에너지 활성화 지역 특구’ 연구 용역을 진행해 산단과 섬지역 등을 대상으로 입지 적절성을 분석했고, 그 결과 전력 수요가 많고 태양광 에너지 인프라가 구축된 인천 주요 산단에 분산특구를 조성하는 게 효과적이라 보고 4개 산단을 후보지로 낙점했다.

인천시는 4개 산단이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전력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남동산단 연간 전력 소비량은 50만7천㎽, 검단일반산단은 6만5천㎽인데, 두 산단과 각각 인접한 송도국제도시와 검단신도시의 인구 증가로 전력 수요가 늘면서 산업계는 전력난을 우려한다. 남동산단은 바이오 특화단지, 검단2일반산단은 환경 분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돼 있어 향후 전력 수요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산단 내에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소비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는 게 급선무다. 인천시는 시간당 최대 120㎽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는 구상도 제시했다.

또 산단에서 생산·소비되는 전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안내해 남는 전력을 거래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 플랫폼도 도입할 계획이다.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기차 충전 사업 등 에너지 관련 신산업 육성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분산특구 선정 결과는 오는 6월께 나올 전망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분산특구 지정과 관련해 인천지역 산단에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들이 문의하는 등 관심이 많다”며 “산업부가 4개 산단을 모두 선정할지, 이 가운데 일부만 선정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