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인천시장으로는 처음으로 대권에 도전한 유정복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경선 후보가 19일 1차 경선 토론회에 나섰다. 안철수·김문수·양향자 후보와 A조에 속한 유 후보는 ‘일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며 저출생, 연금 개혁, 외교·안보 현안 등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밝혔다.

MBTI는 엔티제(ENTJ)… ‘성과형 리더’ 어필
이날 토론회는 각 후보가 1분 동안 자신의 MBTI(성격유형검사)를 소개하며 비전과 철학을 말하는 순서로 시작됐다.
유 후보는 첫 번째 주자로 나서 자신의 MBTI를 ENTJ라고 말하며 “타고난 리더로 살면서 항상 성과를 내왔다. 일하는 대통령이 돼 대한민국을 이끌겠다”고 했다. 다른 후보들이 MBTI를 말하면서 시선이 대본을 향해 아래로 자주 향한 것과 달리, 유 후보는 여유 있게 카메라를 응시하며 1분 자기소개 시간을 마무리했다.
일하는 사람이 존경받고 부자되는 사회 만들것…‘저출생 해결·일자리 확대’ 강조
4명의 후보는 ‘민생·경제·복지’ 분야와 ‘외교·안보’ 분야에서 각각 4개의 키워드를 주제로 본격적인 토론에 나섰다. 유 후보는 지난해 인천시 출생아 증가율 1위와 경제성장률 2년 연속 1위 등 시장으로 재임하며 올린 성과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나머지 후보들이 경제 정책에 대해 자신의 계획을 설명하거나 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공약을 비판하는 것과 달리 ‘성과’를 내세우며 차별화를 꾀했다.
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는 ‘청진기(청년 해외 진출 기회)’ 확대해 대한민국의 경제 영토를 넓혀야 한다고 했다. 또 선거관리위원회의 가족 채용 비리 문제, 고용 세습 문제 등을 직격하며 후보들 가운데 유일하게 ‘공정’을 강조하기도 했다. 유 후보는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주려면 공정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며 “일하는 사람이 존경받고 부자되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반면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부과 등 외교·안보 현안에 대해서는 다른 후보들과 마찬가지로 ‘한미 동맹’을 언급하며 큰 차별점을 나타내지 못했다. 유 후보는 “미국의 관세 부과로 우리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한국과 미국의 굳건한 동맹 관계를 바탕으로 허심탄회하게 (경제 관련)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상대 기습 질문에도 자신 있는 대답… 줄임말 활용하며 유권자에 어필하기도

유 후보는 김문수 후보가 ‘최근 여야 합의로 통과된 연금개혁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대해 준비된 답변으로 응수했다. 유 후보는 “(연금개혁안은) 졸속이다. 연금 고갈 시점을 7~8년 미뤘을 뿐 청년들을 좌절시키는 결정”이라며 “연금 수급권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부분을 연금피크제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김 후보도 이에 대해 “좋습니다. 같이 고민해 봅시다”며 화답했다.
토론회 사회자로 나선 호준석 국민의힘 대변인이 기습적으로 던진 ‘2차 경선 결과를 어떻게 전망하나’는 질문에는 “‘알보유’(알고 보면 유정복)다. 그동안 국민들이 (본인을) 잘 모르셨겠지만, 토론회를 통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며 “이재명 후보와 싸워서 100% 이길 수 있다”고 자신했다. 또 청년 일자리 정책을 설명하면서 “‘청진기(청년 해외 진출 기회)’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의 경제 영토를 확장하겠다”고 언급했다.
서로 공격하는 난타전 없이 후보마다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데 집중하는 토론회 분위기 속에서 유권자들의 인식에 쉽게 각인될 수 있는 줄임말을 쓰는 전략을 활용했다.
문재인·이재명 향해 “권력 사유화·갈라지기” 비판하며 선명성도 드러내
토론회 막바지에 모든 후보를 대상으로 ‘양자택일’ 질문 2가지가 주어졌다. 이 순서에서 유 후보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후보를 다시 한번 비판하며 선명성을 보이기도 했다.
첫 번째로 “독후감용 책으로 ‘조국의 시간’과 ‘문재인의 운명’ 중 어떤 서적을 고르겠나”는 질문에 대해 유 후보는 문재인의 운명을 선택하며 “권력을 사유화하고 국민을 갈라쳐 오늘의 분열된 사회를 만들었다”고 했다.
“기본소득과 지역화폐 중 어떤 정책이 더 나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4명의 후보 모두 기본소득에 손을 들었는데, 유 후보는 이 대목에서도 ‘권력 사유화’라는 표현을 쓰며 비판했다. 그는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재원도 결국 국민의 돈이자 미래세대의 돈”이라며 “표를 얻기 위해 국민의 돈을 이런 식으로 나누는 건 권력을 사유화하는 행위”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