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 주민들 재산권 피해 등 주장

인천 중구 주민들로 구성된 지역 7개 자생단체 회원들이 18일 오전 중구청 앞에서 개항장과 자유공원 일대 고도제한 완화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2025.4.18 /조경욱기자imjay@kyeongin.com
인천 중구 주민들로 구성된 지역 7개 자생단체 회원들이 18일 오전 중구청 앞에서 개항장과 자유공원 일대 고도제한 완화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2025.4.18 /조경욱기자imjay@kyeongin.com

인천 중구 주민들이 개항장과 자유공원 일대 고도제한 규제 등을 완화해 달라고 촉구했다.

중구 주민자치협의회·통장협의회·새마을회·바르게살기운동·자유총연맹지회·지역사회보장협의회·체육회 등 7개 자생단체는 지난 18일 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가 원(구)도심 발전을 막는 고도제한 규제 등을 과감히 풀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중구 내륙 구도심에 설정된 중첩 규제로 재산권 피해와 지역경제 침체 등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자유공원 주변 중앙고도지구(37만2천㎡), 항동6가 일대 역사문화특화경관지구(47만878㎡),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문화재 9개 반경 200m), 자유공원 주변지역(60만688㎡)·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47만878㎡)·지구단위계획구역 등으로 묶여 고도제한 등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중구 구도심 일대는 인천시가 추진하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핵심 지역이다. 중구와 인천시는 중복 규제인 중앙고도지구와 경관지구를 폐지하고, 지구단위계획상 건축물 높이를 현행보다 최대 14m(4개 층) 정도 높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구역별 세부 건축물 높이 계획은 동화마을 22~25m(현행 15m), 차이나타운 20~25m(현행 15~24m), 개항장 동측 22~28m(현행 10~24m) 등이다. 또 제물포고·인일여고·송월초·자유유치원·인성여고 등 학교시설에 대해선 현행 높이 제한을 폐지할 예정이다.

이를 두고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홍예문문화연구소 등 6개 시민단체는 최근 반대 입장을 냈다. 이들은 “개항장과 자유공원 일대 규제가 해제되면 근대 건축물이 사라질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규제 완화 촉구 집회에 참석한 장관훈 중구체육회장은 “역사·문화를 지키는 것만큼 쇠락하고 있는 원도심을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며 “고도제한 등을 일부 완화한다고 근대 건축물이 사라지는 게 아니다. 찬반 주민이 함께 모여 토론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