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제단체·기관 등 참여 운영

주력 산업 자동차·철강 분야 지원

트럼프 정부 관세 부과로 인한 인천지역 대미 수출기업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천시가 비상대응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하고 선제 대응에 나섰다.

인천시는 인천상공회의소,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한국무역협회 인천본부 등 지역 경제단체·기관과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를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10일부터 스마트폰·PC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미국에 수입되는 상품에 10%의 보편관세가 부과되면서 인천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철강 분야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한국무역협회 인천본부가 21일 발표한 ‘인천 수출입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인천의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0.4% 감소한 48억6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미국 상대 수출액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대(對)미국 수출액은 1년 전보다 31.1% 감소한 7억5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수출이 부진에 빠졌는데, 지난해 3월 4억1천800만달러를 기록했던 미국 자동차 수출액은 1년 사이 40.4% 감소한 2억4천900만달러에 머물렀다. 농약 및 의약품(-35.9%), 철강판(-6.4%) 등 다른 품목도 수출액이 일제히 줄었다.

인천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 상대 수출 규모도 쪼그라들었다. 지난달 인천의 대중국 수출액은 10억1천3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4.6%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33.9%), 무선통신기기(-14.5%), 반도체제조용장비(-19.7%) 등 전자기기와 소재·부품·장비 분야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인천시는 대중국 수출액 감소 역시 미국 관세 부과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한해서만 14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에 원자재나 부품을 수출하는 인천 중소기업들도 간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다. 현재까지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매출 감소나 경영 위기를 맞은 인천지역 기업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 중이나, 상황이 지속되면 피해가 속출할 수 있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