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망 확충 (GTX 플러스·경기남부광역철도)

지분적립형 주택 등 경기도 정책

“세종시 국회의사당 이전 부지에 센트럴 파크 조성

인천에 해수부 이전해 해양특화도시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취임 이후부터 공들였던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이하 경기북도) 설치를 대선 공약화하며 추진 의지를 되새겼다.

이와 함께 경기도 공약으로는 GTX 플러스, 경기남부광역철도 등 교통망 확충, 3기 신도시 내 지분적립형 주택 20만호 공급, 경기도서관 2관 건립 등 현재 경기도에서 추진 중인 정책이 김 지사의 대권 행보와도 연장선에 놓이게 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2일 서울 여의도 ‘유쾌한 캠프’ 사무실에서 ‘백팩 메고 TMI’(도어스테핑)를 열고 경기도 대선 공약으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4.22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2일 서울 여의도 ‘유쾌한 캠프’ 사무실에서 ‘백팩 메고 TMI’(도어스테핑)를 열고 경기도 대선 공약으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4.22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

김 지사는 22일 서울 여의도 ‘유쾌한 캠프’ 사무실에서 ‘백팩 메고 TMI’(도어스테핑)를 열고 “경기북도 설치는 제가 오래 전부터 주장했던 것”이라며 “그동안 모든 준비를 마쳤지만 주민투표 요청에 대해 중앙정부가 일언반구의 답도 없었고, 지난 총선 전에 국민의힘 전 대표가 김포시 서울편입 등을 주장하면서 판이 흩뜨려져서 중단됐다. 경기북도가 만들어진다면 대한민국 GDP가 1년에 0.31%p씩 올라가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기북도가 설치되면 경기북부 지역의 중복규제 완화, 금융·의료 인프라 확충, 대기업 유치라는 효과가 생긴다는 설명이다. 경기북부 지역의 규제를 완화하면 자연환경이 훼손될 수 있지 않냐는 질문에는 “경기북도 설치에 따른 개발은 자연친화·보전적인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3개 군에 9개 존으로 바이오·문화 등 각각 지역 특성에 맞는 개발 계획을 만들어놨다. (특히) DMZ의 브랜드 가치는 삼성보다도 높다”고 자신감 있는 답변을 내놨다.

이날 김 지사는 서울·인천 공약과 수도권 공통 공약을 함께 발표했다. 수도권 공통 공약으로는 “구석구석 빠짐없이 1시간 내 출근망을 구축하겠다”며 GTX A·B·C 노선 조기완공 및 연장, D·E·F 노선 신설, 1호선~9호선 및 신분당선 연장,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등을 약속했다.

또한,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세종시로 대통령실과 국회를 이전하면 국회의사당 부지에 ‘한국판 센트럴파크’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제안했다. 김 지사는 “국회 본청은 박물관으로 조성해 역사성을 유지하겠다”며 “여의도는 금융도시로서의 골격을 갖췄지만,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같이 관광객도 방문하는 시민 휴식 공간이 부족하다”고 조성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 세종 이전은 취임한 직후 가능하지만, 국회는 의사당 건립에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임기 3년 단축을 약속했기 때문에, 임기 중 빠른 시일 내에 국회의사당을 옮겨가겠다. 센트럴파크 조성은 공사에 시간이 조금 더 걸리겠지만 임기 내에 삽을 뜰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 공약에는 이승만 기념관 백지화 및 국민통합형 역사공원 건립, 국립중앙박물관부터 서울아레나(창동)까지 ‘K-역사문화순례길’ 조성, 노도강과 은평·강서·양천·구로·금천을 잇는 C형 벨트 ‘환(環) 서울권 대개발 프로젝트’ 등이 담겼다.

아울러 인천으로의 해양수산부 이전을 통해 인천을 해양특화도시로 만들겠다고 했다. 이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배치되는 공약이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저는 부산은 산업은행 이전 등으로 국제금융 수도로 만들겠다고 했다”며 “인천에는 이미 해양경찰청이 있다. 국립해양대, 해양수산산학진흥원, 해사전문법원을 건립·유치하고 해수부까지 이전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딱히 인천의 발전 방향이 많지 않은데, 바이오산업단지 등에 해양특화도시를 추가해 인천을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매머드 선대위·네거티브·조직동원 등 ‘3무’(無) 선거운동을 약속한 만큼 이재명 전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해선 “큰 관심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법원에서 판단할 노릇이지, 경선과정과 별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 후보가 당당하게 대처할 문제다. ‘3유’(有) 선거운동 약속한 것 중, 첫번째가 비전과 정책이다. 끝까지 정정당당하게 경선하겠다”고 밝혔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