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문동 259-10·273-7 일원 3만㎡ 토지
택지·재개발서 제외 ‘섬’처럼 고립 우려
시의회 “종상향 등 대책 필요” 한목소리

봉재 부자재 판매점, 오래된 미용실, 인력사무소에 심지어 성인용품점까지…. 서울 중랑구에서 경춘로를 따라 구리시에 진입했을 때 첫 교차로인 ‘교문사거리’ 일대 풍경이 구리시의회의 도마에 올랐다. 교문사거리 동편으로는 고층빌딩들이 들어서며 중심상업지구가 등장하는데 비해 서편에는 50여 년 된 노후 단층 건물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 중 3만㎡ 정도의 면적이 재개발 지구에도, 택지개발계획에도 포함돼 있지 않아 향후 개발사업이 완료되더라도 ‘섬’처럼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시의회는 23일 349회 임시회 1차 본회의를 열고 2030년까지 유지할 구리 도시관리계획(재정비) 결정(변경) 의견청취(안)을 상정·논의했다.
시는 이번 재정비에서 인창동 642-2일원 주거지역 내 남아있는 녹지를 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하고, 교문사거리와 건원대로 일원의 용도지구를 복합용도지구로 신설해 건축물의 사용 용도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문사거리 서편인 교문동 259-10과 교문동 273-7 일원 약 3만㎡ 일대의 토지주가 용도지역을 1종에서 종상향해 달라는 요구는 수용되지 않았다. 시는 종상향에 따른 공공기여 방안을 수립하기 어렵고, 개발계획이 동반되지 않은 용도지역 변경은 경기도의 승인을 받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교문사거리 서편 교문동 259-10·273-7 일대와 관련된 의원들의 문제제기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이뤄졌다.
권봉수(민) 의원은 “교문사거리 인근이 재개발(딸기원지구)과 택지개발계획(교문지구)으로 이미지를 변신할 테지만, 주민 의견이 들어온 일대는 아직 개발 계획이 없어 가시 박힌 것처럼 40~50년 된 건물이 방치될 우려가 높다. 이대로 놔두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용현(국) 의원도 “해당 지역은 뒤편에 하천도 흐르는 등 1종인 상황에서는 수익성이 맞지 않은 것도 현실이다”면서 “딸기원, 교문지구, 교문사거리 일대를 지구단위계획을 잡아 경기도에 건의해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대해 시는 “(지구단위계획변경)주민 제안이 오지 않는다면 시가 나서서 지구단위계획을 정비하는 것도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
구리/권순정기자 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