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인천공항 감염병 대응병원 설립 모색’ 토론회
참사·재난 대처할 종합병원 전무
“해외 3~6㎞ 이내 의료기관 존재”
제2의료원·공공의대 설립도 주장

공공의대 신설, 인천공항 종합병원 확충, 제2의료원 건립 등 인천지역 의료 인프라 확충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기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23일 국회에서 인천공항 감염병 대응병원 설립을 모색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연간 1억600만명이 이용하는 인천공항의 열악한 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인천공항에는 지난해 12월 발생한 무안공항 참사와 같은 대규모 재난이나 감염병 확산 사태가 벌어져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종합병원이 인근에 없다. 최근 인천공항에서 쓰러진 임신부가 2시간 넘게 병원을 찾다 구급차에서 출산하는 등 긴급 상황에 대응할 의료 인프라도 부족하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임정수 가천대길병원 공공의료본부장은 “해외 주요 국제공항은 3~6㎞ 이내에 감염병 특화병원이나 공항과 연계된 항공의학센터 등이 있고 배후에 감염병 대응 의료기관들이 존재한다”며 “세계 톱3 규모 인천공항이 위치한 영종지역에는 종합병원과 응급의료기관이 전무해 인천대교와 영종대교를 타고 타 지역으로 이송되고 있다”고 했다.
백진휘 인하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은 “김포공항은 4.1㎞, 제주공항은 3.2㎞, 무안공항도 13㎞ 거리에 응급의료기관이 있는데 인천공항은 인하대병원이 31㎞ 거리에 위치해 신속한 의료 대응이 불가능하다”며 “인천공항의 중요도, 테러나 항공사고 대응, 감염병 유입 등을 고려한다면 공공 주도 종합병원 건립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를 연 더불어민주당 허종식(인천 동구미추홀구갑) 의원은 인천공항이 위치한 영종지역에 종합병원을 신설하는 방안을 인천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다. 허 의원은 “인천공항 개항 후 24년이 지났지만 의료 공백은 변한 게 없고, 공항 곁에 사는 영종 주민들도 필수의료 서비스에서 배제돼 있다”며 “감염병 대응병원은 공항에도, 지역에도, (재난 등) 위기에도 작동하는 공공 의료시스템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했다.
인천공항이 위치한 영종도뿐 아니라 인천 도심에도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천시는 지난해 보건복지부에 ‘인천 제2의료원’ 건립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지만, 재정 적자 누적을 이유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공공의료포럼이 최근 ‘필수·지역·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인천지역 대선 보건의료정책 요구’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병원 지원 확대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오세랑 보건의료노조 인천의료원 지부장은 “의료원을 비롯한 지역 공공병원들이 필수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재정적·구조적 문제로 겪는 어려움이 크다”며 “공공병원의 안정적 운영과 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공공의료 필수인력 양성을 위해 인천대학교와 인천범시민협의회가 추진 중인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도 지역의 핵심 의료 현안이다. 지난해 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발의된 뒤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인천범시민협의회는 대선 후보 공약에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을 반영해달라고 각 당에 요구할 예정이다.
/김우성·한달수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