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경선서 ‘수도권 공약’ 발표
市 역할 물류 방점, 세계 허브 강조
크루즈 모항 강화·해사법원 등 설치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 육성 포부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인천을 물류와 바이오산업 등 ‘K-경제의 글로벌 관문’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수도권 공약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이 진행 중인 지난 25일 공개한 이 후보는 “대한민국은 인천을 통해 세계로 뻗어 나가고, 세계는 인천을 통해 대한민국을 만난다”며 “대한민국 대표 주자, 서울·인천·경기가 중심이 되어 대한민국 운명을 개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가 ‘수도권 K-이니셔티브’에서 밝힌 인천의 역할은 ‘물류’에 방점이 찍혀 있다. 이 후보는 “인천을 공항과 항만, 배후도시를 연계한 ‘글로벌 물류 허브’를 목표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대표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배후 항만인 인천항 등이 있는 관문으로서 인천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인천항의 동북아 크루즈 모항 기반을 강화하는 계획도 언급했고 해사법원을 인천과 부산 두 곳에 설치하면서 인천에 설치될 법원은 국제 해사 사건 전문법원으로 특화 발전시키는 공약을 내세웠다. 바다로 세계와 연결되는 인천의 해양문화가 우리나라 발전의 주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표 참조

‘바이오 클러스터’가 인천의 미래를 책임질 주요 산업이 돼야 한다고 이 후보는 판단한다. 그는 “송도·영종도·시흥 일대는 첨단 연구개발과 생산을 아우르는 세계적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로 키우겠다”고 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등 노후 산단은 ‘한국형 스마트 그린산단’으로 재정비하겠다는 구상과 함께 “영종도에는 항공산업 특화단지를 조성해 지속가능한 미래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경인고속도로와 경인전철의 지하화는 선거 때마다 중요하게 등장한 인천 공약 중 하나다. 이 후보는 “지역 단절로 상권을 약화시키고, 소음·분진으로 피해를 주는 철도와 고속도로는 단계적으로 지하화하겠다”고 공약했다. 인천 연수·구월 등 노후 계획도시 정비에 대해서는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인천·경기·강원지역을 경강선으로 연결하고,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A·B·C 노선은 지연되지 않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남북 협력 시대’에 대비해 인천 강화~경기 북부~강원 고성을 연결하는 동서평화고속화도로를 건설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서울·인천·경기가 각각의 장점을 최대화하고 수도권이라는 시너지로 융합될 때, 대한민국이 미래를 향해 달릴 수 있고, 대한민국이 세계를 주도할 수 있다”고 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