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선거관리위원회가 업무 과부하로 몸살을 앓고 있다.

도 선관위를 비롯, 도내 39개 시·군·구 선관위는 6·13 지방선거에 이어 내달 11일 실시되는 교육위원 선거관리에 매달리고 있다. 이후 안성, 광명, 하남 등 3곳의 8·8 재보선과 12·19 대선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도내 3개의 전국 단위선거와 1개의 재·보선이 실시되는 '선거의 해'를 맞아 빡빡한 선거일정에 숨돌릴 겨를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야 할 형편이다.

전국 규모로는 처음 실시되는 교육위원 선거가 내달 11일로 임박한 데다 그 뒤엔 '미니 총선'이라 불릴 정도의 정치적 의미를 가진 8·8 재보선이 기다리고 있으며 12월 실시될 대선도 22일부터 기부행위제한 기간이 시작됨에 따라 선관위 직원들은 '1인 3역' 이상을 소화해야 할 지경이다.

선관위는 이 과정에서 불·탈법 선거운동 예방 및 단속과 투표율 제고 노력 등 순수 선거관리 이외의 분야에서도 에너지 소모가 상당하다.

6·13 지방선거가 끝난 현재 선관위는 선거비용 실사 및 비용보전 작업에도 구슬땀을 흘리고 있어 여름휴가 일정 얘기는 꺼내지도 못하고 있다. 도 선관위 관계자는 “선관위가 생긴 이래 가장 많은 업무가 몰린 한해”라며 “ 7·8월에 2개의 선거가 몰려있어 여름휴가는 생각할 수 없는 형편이며 선거가 끝난 뒤 통상 주어지는 '한가로움'도 이번엔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