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이 매년 여름마다 수몰위협을 안고 있는 비극의 땅 문산.

문산지역을 비극의 땅에서 건져내기 위해서는 지리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고 항구적인 수해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도시재정비가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 96.98년에 이어 또다시 올해 수몰된 파주 연천 동두천등 북부지역의 재산피해와 응급복구등에 이미 3조원 이상이 허비됐다.올해도 재산피해액과 응급복구비로 1조원정도가 사용될 전망이다.

국립방재연구소(소장 宋在偶)는 문산읍의 경우 앞서 지적한 하천제방성토및 하상정비,배수펌프장 증설및 유수지 신설등이 미시적 관점의 단기대책이라면 거시적 관점에서 문산읍재개발과 홍수조절용 중소규모 댐건설,임진강의 배수갑문설치등 도시재개발을 통한 항구적인 수방대책으로 내놓고 있다.

주민의 생명과 재산이 매년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10조원의 사회간접자본중 도로및 철도건설등에 65%를 사용하고 고작 0.4%인 1백4억원만이 직할하천의 홍수예방경보등에 사용되고 있어 정부당국이 강변하는 예산타령은 더이상 의미가 없다.

눈에 보이는 지역개발등 선심사업을 지양하고 국민들의 안전한 삶을 영위할수 있는 자금투입을 우선하면 국가예산은 충분하다는 것이 전문가그룹의 진언이다.

모두 5조원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는 이들 거시적인 중장기 수방대책이 마련되면 임진강 수계지역인 파주 동두천 연천등 북부지역의 홍수피해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방재연구소 李鍾設박사는 장담하고 있다.

먼저 임진강변에 위치한 문산읍은 해발이 4_5m밖에 되지 않는 저지대로 상습적인 침수위험을 안고 있다.

이에따라 저지대를 성토시켜 상습침수지역에서 벗어나야 한다.시가 마련중인 재개발안은 합리적 토지이용과 기존시가지 정비등에 치중되고 있다.

침수피해를 입었던 고양일산신도시와 자유로도 10m이상 지반을 성토했듯이 문산읍도 침수위협에서 벗어날수 있는 지반성토위주로 도시개발이 우선돼야 수몰위협에서 해방될수 있다.

李박사는 『오는 2006년까지 계획된 문산읍 도시개발계획을 앞당겨 내년부터라도 도시 재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며 『이과정에서 지난 90년 자유로 뚝이 터져 일산지역과 자유로를 10m이상 성토했듯이 문산지역도 10m이상을 성토시키는 도시재개발을 충분히 할수 있다』고 항구적인 수방대책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방재연구소 金陽洙연구실장은 『집단이주 자체가 불가능한 현실에서는 당장 급한대로 건물 1층과 지하는 주차장등의 시설로 용도를 변경해야 한다』면서 『도시개발의 가속화에 따라 지표수의 침투가 어렵고 유속도 10배이상 빨라진 만큼 택지개발사업시행시는 받드시 유수지 건설을 의무화하고 오수가 땅속으로 침투하는 아스팔트로 건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문산읍재개발과 함께 방재전문가들은 임진강과 접목되는 문산천하류에 굴포천처럼 배수갑문을 설치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서해바다의 만조시에 임진강 물이 문산천등 지천까지 역류하는 현상을 막고 상류에서 흘러드는 물을 강제로 배수시키기 위한 방안이다.

李박사는 『저지대에 위치한 문산읍은 만조시 밀물이 문산천까지 역류하는 현상이 평소에도 빚고 있다』며 『따라서 만조시에는 갑문을 닫고 문산천의 물을 임진강을 강제배수할수 있는 배수갑문을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임진강 수계지역의 홍수조절용 중소규모 댐건설도 방재전문가들의 수방대책이다.

낙동강의 경우 다목적댐인 안동 임하댐등 4개이고 밀양댐의 신설작업이 진행중이다.영산강의 경우도 주암댐등 3개가 홍수조절역을 수행하고 있다.

반면 임진강은 지천인 한탄강에 연천댐 1개뿐이다.그것도 홍수조절능력이 없는 발전댐에 불과하다.

이와관련 宋소장은 『임진강 수계의 3분의 2이상이 북한쪽에 위치해 있어 대규모 댐건설은 북한과 협의를 해야하는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따라서 임진강 본류와 지천에 각각 1개이상씩의 중소규모의 댐을 건설해야 수몰위협에서 벗어날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임진강 수계지역의 지형과 경사도가 댐건설에는 부적합하다는 지적도 있어 현실적인 대안으로는 어렵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임시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