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동 전 총리가 7일 대선출마를 공식 선언하고 대선행보에 본격 나섰다.
이 전 총리의 대선 출마 선언에 따라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민주당 노무현 후보, 무소속 정몽준 의원,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 등이 나서는 이번 대선은 다자구도로 치러질 전망이다.
지난 대선에서 신한국당 경선에 참여한 바 있는 이 전 총리로서는 대권도전 재수에 나선 셈이다.
이 전 총리는 입법·사법·행정 등 3부 요직을 두루 거친 화려한 경력과 함께 경기(포천) 출신으로 탈(脫) 지역정치가 가능하다는 이른바 '중부권 역할론' 등의 이점을 갖고 있으며 이같은 특장을 내세워 제3후보로서 대선 행보에 박차를 가할 방침임을 공공연히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 내에선 그의 대선 행보가 그리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미약한 여론지지도와 대중적 인기 결여가 큰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의 가장 큰 정치적 자산인 경기·인천지역에서의 '위상'이 과거와 같지 않은 것도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선이 70여일 앞으로 다가온 물리적 시한을 감안하면 특단의 여론대책을 세우지 않는 한 기회를 잡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민주당 노무현 후보, 정몽준 의원에 뒤 이은 후발주자로서 입지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것도 한계로 꼽힌다. 이에 따라 그의 첫 착점은 정치권 지각변동의 틈새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전 총리가 대선출마 선언에서 “지금 추진중인 통합신당 창당에 적극 참여·협조하고 그 당이 시행할 후보선출 방식에 따라 공정한 경쟁을 통한 후보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힌 것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즉, '반(反) 이회창, 비(非) 노무현' 신당이 창당될 경우 이에 적극 참여, 신당 후보직을 노린다는 구상으로 여론 지지도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1차 관문을 통과할 경우 '본선'에선 해볼만하다는 자신감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그는 통합신당 추진이 무산될 경우 독자신당 창당방침을 분명히 해놓고 있으나 그를 둘러싼 정치상황을 감안하면 선(先) 통합신당 창당, 후(後) 후보직 경선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한동씨 출마선언' 대선 다자구도 전망
입력 2002-10-07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2-10-07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