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용유도 주민들은 공항건설 등 대규모 국책사업과 주변 개발에 대해 큰 기대감을 갖고 있으면서도 한편으론 생계와 삶의 질 문제를 놓고 걱정하고 있다.

공항건설로 오랫 동안 주민들의 생계수단이었던 어장이 상당수 폐쇄됐으며 대부분의 토지가 각종 개발로 묶이면서 재산권 행사도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례로 공원부지의 경우 정부가 토지매입을 미루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생계문제는 더 심각하다.

최근 영종·용유 지역 어촌계 회원들이 모여 신공항건설공단에 전업대책 마련을 건의했지만 신공항공단측이 전면수용은 어렵다며 일부 안만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신공항공단측이 모든 주민들에 대한 전업대책을 세워달라는 것은 아니라며 최소한의 생계유지 차원에서의 대책을 요구했는 데도 공단측이 무성의한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 을왕동 2통, 4통, 8통, 덕교, 무의 주민 전체와 남·북동, 을왕 3통 주민의 40% 정도가 특별한 생계대책 없이 지난 93년부터 공항건설 피해로 받은 보상금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

중구의회 崔翼萬의원(53·용유동)은 『예전에는 농가당 평균 소유 농지가 1천5백평에서 2천평 가량으로 농업과 해산물 채취를 함께 하면서 생활비와 교육비, 세금 등을 충당했다』며 『그러나 어장이 폐쇄된 이후 농사만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농지 2천평을 소유하고 있는 농가의 경우 1년 농사를 지어 30_40가마의 쌀을 생산하더라도 소득이 4백_5백여만원에 그치기 때문에 단순히 농사만 갖고는 생활하기 어렵다고 한다.

주민들은 또 정부가 이 곳에 각종 대규모 국제관광단지를 조성키로 한 계획에 대해서도 별로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영종·용유지역 토지의 3분의 2 가량이 이미 외지인의 손에 넘어간 데다 관광개발이 이뤄진다 해도 자신들의 생계유지로 돌아올 몫은 적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영종·용유 지역 관광개발이 지역주민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속빈 강정」으로 될 수 밖에 없다는 게 주민들의 지적.

이들은 개발을 할 경우 지역 주민들이 개발에 직접 참여, 고용을 창출하는 방안을 병행해 주민들에게 골고루 개발혜택이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민들이 겪고 있는 불편도 한두가지가 아니다.

주민들은 건물의 신축은 물론 증·개축조차 어려워 낡은 건물에서 생활해야 하는 것은 물론 유원지 지구로 지정된 곳에선 벽돌 하나 마음대로 쌓지 못하고 있다며 하소연한다.

여기에다 용유지역 자연발생 유원지와 해수욕장의 경우 대부분 국·공유지인 데다 정부가 매각처분을 해 주지 않아 피해를 보는 주민들도 있다.

상업활동을 하는 주민들은 국·공유지 불법점유라는 이유로 연간 수십여만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토지거래 규제가 심해 높은 공시지가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재산권행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비싼 이자를 물면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야 하는 실정이다.

올해부터 토지거래 규제를 완화했지만 아직까지 도시계획이 발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토지거래의 자유는 멀었다는 게 주민들의 얘기다.

취약한 해상교통 문제도 주민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일몰을 전후에 선박운행을 통제하는 바람에 위급한 환자가 발생하거나 긴급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신속한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현재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가 건설중이지만 이 곳 주민들에게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고속도로 자체가 서울 등 수도권 주민들을 위주로 건설되고 있어 생활을 위한 교통수단으론 전혀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부족한 편의시설과 문화시설도 문제다. 시내와 불과 15분 거리에 있다고는 하나 섬지역이라는 특성상 마땅한 재래시장도 없는 데다 기본적인 설비를 갖춘 병·의원도 태부족한 실정.

또 주민들의 정서나 문화적 욕구를 충족할 문화시설도 앞으로 해결해야 될 과제로 꼽히고 있다.

영종·용유 주민들은 한결같이 『대규모 국책사업을 벌이는 것도 좋지만 조상대대로 살아온 지역 주민들의 기본적인 권리와 삶의 터전은 지켜야 할 것』이라며 『각종 개발에 앞서 주민들을 먼저 감안하는 정책마련이 아쉽다』고 지적한다.<徐晋豪기자·prov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