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시리즈 3회

21세기를 흔히 「NGO(비정부기구)」의 시대로 일컫는다. 각계 각층에서 시민들이 적극 참여해 새로운 삶의 방향을 찾아가는 운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란 얘기다. 그 만큼 시민(사회)단체의 중요성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인천지역에선 이들의 활동이 너무 미약하다는 지적이다. 재정독립, 대중성, 전문성 등을 확보하지 못한 채 시민들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21세기를 앞두고 인천지역 시민단체의 실태와 문제, 나아갈 방향 등을 살펴보았다.(편집자 註)

(上)퇴보하는 시민운동

인천에서 시민운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론 역시 90년대가 꼽힌다. 여러 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얘기. 물론 그 전에도 학생·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시민운동은 꾸준히 펼쳐졌다. 하지만 대부분 「군부독재와의 투쟁」에 초점을 맞추었던 탓에 다양한 시민생활과는 거리가 멀었던 게 사실이다.

90년대 들어 인천에선 시민들의 동참을 통해 몇몇 시민운동이 큰 결실을 거두었다. 계양산살리기, 선인학원 시립화, 굴업도 핵폐기장건설 백지화, 인천방송 유치 등이 그 것. 시민생활과 직결됐던 이들 시민운동은 과거 「주인없는 도시」란 인천의 부정적 인식을 지우면서 다른 시민·사회단체 결성을 촉발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그러나 90년대를 마감하는 시점에서 인천의 시민운동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는 10여개 시민단체들도 대개 재원 및 전문성 부족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게 단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무엇보다 경제난이 장기화하면서 회원수 및 회비 납부액이 급감, 시민단체마다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시민운동의 독립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재정자립은 필수적인 요소. 인천에서 비교적 탄탄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인천환경운동연합의 경우도 회비로 운영비를 충당하는 비율은 50%를 밑돈다.

괜찮다는 단체가 이 정도니, 다른 시민단체는 말할 것도 없다. 재원부족으로 일부는 존폐의 갈림길에 서 있는 형편. 시민단체가 경제적 독립성을 갖추기 위해선 회비 충당율을 8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게 활동가들의 주장이다.

최근들어 시민운동이 한계를 드러내는 요인은 또 있다. 대중장악력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것. 지난 96년 「지역문제는 주민의 힘으로 직접 해결하자」는 기치를 내걸고 잇따라 생겼던 각 구·군 시민모임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들은 지역문제에 안이하게 접근, 대중성과 전문성 확보에 실패한 후 활동을 거의 중단한 상태다.

반면 인천 여성의 전화와 여성노동자회 등 일부 여성단체는 꾸준히 독자적인 영역을 넓히면서 활동을 벌여 위기를 맞고 있는 다른 시민단체들과 대조를 보이기도 한다. 인천시민연대 柳관석 사무처장은 이와 관련, 『오는 3월초 시민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위상 재정립에 대한 논의를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李喜東기자·dh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