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단체 진단(下)
입력 1999-02-20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1999-02-20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인천에선 90년대 들어서야 시민운동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시민단체의 역사가 그 만큼 짧았던 셈이다.
따라서 큰 결실을 기대하기엔 아직 이르며,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지금 맞고 있는 어려움은 발전을 위한 과도기적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게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얘기다.
이들은 아울러 그동안 이룩한 시민운동의 성과를 과소평가해서는 안된다고 강변하기도 한다.
그러나 21세기를 앞두고 시민운동을 지역사회 발전의 원동력으로 끌어 올리기 위해선 좀 더 다양하고 창조적으로 운동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노동·환경·여성 등 각 분야에 걸쳐 구성되어 있는 인천지역 시민단체의 단점으론 무엇보다 취약한 조직력을 꼽을 수 있다.
부실한 조직은 결국 활동가와 시민들의 거리를 좁히지 못함으로써 운동의 집중력과 추진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게 일반적인 지적.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민단체들은 「백화점식」 운동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전문성도 결여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물론 이런 방식이 서구에 비해 운동토대가 취약한 우리 현실에서 오히려 유효했다고 평가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하지만 전문성과 대중성이 시민운동의 존립기반이라는 점에서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은 이제 이같은 단점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민연대 尹관석사무처장은 『시민운동의 과도기적 단점을 극복하려면 과거 재야운동이 갖고 있었던 조직적 힘에다 시민운동의 다양성을 결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또 대중들에게 좀 더 쉽게 접근하고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세분화한 시민운동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그런 다음 연대를 통해 지역내 굵직굵직한 문제에 접근해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게 시민운동 관계자들의 얘기.
그런 의미에서 최근 金남근변호사 등을 중심으로 시작한 「아파트 공동체문화운동」은 새로운 시민운동의 시도로 관심을 끌고 있다.
시민생활 속으로 파고들어 일상에서 부딪히는 문제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밖에 지방의원들과의 연대를 적극 모색하고 그들을 시민운동안으로 끌어들이는 작업도 운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인천환경운동연합 徐주원 사무국장은 『21세기를 맞아 시민운동도 다양하게 변화해야 된다』며 『시민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李喜東기자·dhlee@kyeongin.com>李喜東기자·dhlee@kyeongin.com>
-
투표진행중 2024-11-22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