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살리자.』

인천 앞바다가 시름시름 앓고 있다. 정부가 5월 31일을 「바다의 날」로 정하고 바다를 살리기 위한 갖가지 해양환경오염방지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바다정화는 좀처럼 이뤄지지 않고 있다.

14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2월 인천 앞바다에 대한 해양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 8.81㎎/ℓ이던 DO(용존산소량)는 11.29㎎/ℓ로 28%나 증가했다. 이는 수산용수 2급 기준치인 5㎎/ℓ를 무려 2배 이상 초과한 수치다.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도 지난해 0.97㎎/ℓ에서 무려 67% 늘어난 1.62㎎/ℓ로 조사돼 서해의 수질이 계속 악화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질소총량 또한 0.268㎎/ℓ에서 0.626㎎/ℓ로 2백33% 증가했고, 인총량도 0.014㎎/ℓ에서 36% 늘어난 0.019㎎/ℓ로 파악됐다.

이 상태로 해양오염이 진행된다면 몇년 지나지 않아 인천 앞바다에선 물고기들이 살 수 없는 위기를 맞이 할 수 있다는 게 해양전문가들의 얘기다.

중금속에 의한 바다오염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해양퇴적물의 표층에선 구리가 평균 1백12@/@으로 나타나 기준치 45@/@보다 2배 이상 초과했으며 납은 평균 326@/@로 기준치 20@/@보다 16배 이상 높았다. 아연, 카드뮴 등 다른 중금속 오염도 기준치를 훨씬 넘는 등 바다오염이 심화, 결국 어패류와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우려가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그런가 하면 몇 년 전엔 흔히 잡혔던 어족도 해양오염으로 종종 자취를 감추고 있는 실정. 개발이라는 미명아래 마구잡이식으로 추진한 갯벌매립이 각종 어류의 씨를 말리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가 지난해 우보엔지니어링에 용역을 의뢰해 송도 매립지 주변 해역에서 자치어(알에서 깨 어느 정도 골격을 갖춘 상태의 물고기)출현량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전어, 밴댕이, 망둑어류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해역의 자치어 출현종수는 8종으로 지난 84년 경기만에서 조사된 28종에 비해 심각하게 감소, 물고기의 산란이 사실상 불가능한 곳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가을 조사한 자치어 출현종수에선 「농어」단 한종만 나타나기도 했다. 물고기의 산란이 대개 여름, 겨울에 이뤄지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현재 인천 앞바다의 오염상태는 위험수위를 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셈.

서해수산연구소 임양재 연구관은 『인천 앞바다에선 이미 홍어, 민어 등 일부 어류는 고갈됐다는 표현을 쓸 만큼 아예 종적을 감춘 상태』라며 『해양오염에 따른 어자원 감소도 있지만 무분별한 어종 남획도 어족의 씨를 말리는 주요원인중 하나』라고 지적했다./車埈昊기자·JUN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