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9년 포장마차와 낡은 횟집들이 즐비하던 월미도가 「문화의 거리」로 단장된 지 10주년을 맞았다.

월미도는 본디 육지와 가까운 조그마한 섬이었다. 섬의 모양새가 마치 반달의 꼬리처럼 길게 휘어 있어 월미(月尾)란 이름이 붙었다.

「월미도 문화의 거리」 개장 10년을 맞아 월미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앞으로의 발전전망 등을 살펴보았다.<편집자 註>

월미도 문화의 거리가 개장된 것은 89년 7월 1일.

당시 인천시가 8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문화공간이 별로 없는 인천의 새 명소로 만들어 관광객을 유치하겠다는 취지에서 7백50여m의 해안선을 포장하고 각종 조각물과 야외무대를 꾸몄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이 곳은 시민들에게 문화공간보다는 유흥가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당초 취지가 무색해 진 셈. 현재 이 일대엔 노래방 등 유흥업소가 1백여개, 여관이 30여개에 달한다.

화랑이나 전시실, 소극장 등 문화시설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문화의 거리」란 이름이 부끄러울 정도.

월미도를 찾은 행락객들은 호객꾼들의 성화에 몸살부터 앓는다.

업소마다 1~2명씩 호객꾼을 동원, 행인들을 잡아 끌고 있어 모처럼 이 곳을 찾는 시민들은 짜증부터 난다.

구의 지도점검도 헛일이다.

호객행위에 대해 지도단속을 벌여도 상인들에겐 「쇠귀에 경읽기」.

특히 여름 휴가철이면 월미도 문화의 거리는 난장판을 방불케 한다.

영종·용유도로 가는 차량과 호객꾼들이 북새통을 이루며 극심한 혼잡을 빚는 것이다.

어지럽게 들어선 불법노점상들도 골칫거리.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건전한 상거래마저 흐려놓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이 곳 상인번영회는 노점상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요구하며 집단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구는 이에 따라 지난 5월부터 본격적으로 불법노점상들을 단속했지만 노점상들의 반발에 부딪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형편.

문화의 거리를 찾는 행락객들의 무분별한 행동도 하루 빨리 고쳐야 한다.

조각품에 온갖 욕설을 써 놓는가 하면, 남은 음식물을 버려 거리를 더럽히기 일쑤고, 해안가 철책에서 아이들에게 소변을 보게 하는 등 행락객들의 무질서가 여전한 것이다.

문화의 거리가 안고 있는 문제는 이 뿐만 아니다.

이 일대는 준주거지역이어서 개발에 많은 지장을 받는다고 한다.

주민과 상인들은 『월미산을 개방하고 월미도 일대를 관광특구로 지정하기에 앞서 빠른 시일내에 이를 규제를 완화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또 『문화의 거리 주변을 지난 30여년 동안 군사보호지역으로 고시, 건축물을 3층 이하로 제한하는 등 여러가지 제약을 받아 왔다』며 『형질변경과 아울러 고도제한 완화조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월미산 개방도 시급하다.

50년대부터 민간인 출입을 금지하고 있는 군부대가 올 하반기에 일부 이전할 계획이지만 시와 군의 의견 차이로 개방이 불투명한 상태.

군부대측은 "시가 월미산 부지를 매입하지 않을 경우 월미산 관리 차원에서 민간인 통제는 계속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시는 "군부대 요구대로 부지를 매입하려면 9백억여원이 필요한 데, 현 재정형편상 일괄 매입은 어렵다"고 주장한다.

시는 이에 따라 군부대측이 일단 무상양여 형태로 월미산 부지 관리권을 시에 이관하면 단계적으로 예산을 확보, 부지매입비를 지급하는 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李世英 중구청장은 『인천국제공항이 개항되면 월미도를 찾는 관광객도 부쩍 늘 것이므로 역사·관광지로서 이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연구검토중』이라며 『문제를 일으키는 노점상 철거를 비롯 준주거지역 완화, 월미산 개방 등에 최대한 역점을 두고 사업을 벌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徐晋豪기자·prov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