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환경피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서구 검단지역의 악취는 매립지 및 무등록공장, 악취를 분산하지 못하는 지형적 특성, 가공금속 및 목재, 화학업종의 밀집 등이 작용한 탓으로 분석됐다.

서구는 11일 검단지역 환경문제의 지역입지여건 및 문제점과 관련, “오는 3월 30일까지 2천여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해업소 일제 전수조사 및 단속과 함께 오염물질 배출업체 이전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히고 이같은 자체분석안을 내놨다.

구 자료에 따르면 검단에는 허가 및 신고사업장 5백18곳 가운데 가공금속 91, 목재 45, 기타화학 34, 세차 13, 비금속광물 12, 플라스틱 10곳 등의 공장이 운영중이며 이중 대기관련 오염물질 배출업소가 1백55곳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공장외에 허가 및 신고대상 규모이하인 소규모 영세사업장 1천4백여곳이 영업중이어서 지도·단속에 애를 먹고 있다.

이들은 농업 및 축산업이 주된 업종이었던 검단에 공업화바람 이후 축사 등을 불법으로 뜯어고치면서 우후죽순으로 들어선 사업장이 대부분으로, 5백20만평 규모의 매립지 악취와 섞여 오염부하량을 더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단위 아파트단지와 가까운 사업장서 발생하는 휘발유성오염물질과 폐기물 소각 악취가 대기중으로 넓게 퍼지지 않은 채 인근 황화산 및 장능각산 협곡내부에 머물다 5월~10월에 주로 발생하는 서해안의 안개와 혼합되면서 환경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요 악취발생원은 사료제조과정에서의 부패성 악취, 화학약품 제조공장의 폐인트, 신나 등 유기용매, 폐비닐 등 폐기물 재활용공장의 염소화합물계통악취, 가축 사육과정 분뇨 등으로 나타났다.

사정이 이렇지만 지역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검단지역개발이후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계속 건설하는 바람에 인구가 97년 11월 2만명에서 현재 5만5천여명까지 폭증, 주민들의 환경관련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구는 “지난해 지속적인 합동단속으로 1백51곳의 위반업소를 가려내 고발 및 행정처분을 내리고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열어 문제업소 이전 등 대책을 논의했다”며 “올해 취약지역 지정을 통한 특별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李旻鍾기자·minj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