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과 인천 송도신도시를 잇는 제2연륙교의 조기건설은 인천시민들의 숙원이다. 특히 일부에서 제기되는 무산설은 말도 안된다며 걸림돌 제거에 시민들이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다. 전문가들도 인천의 미래를 앞당길 수 있는 송도신도시의 성공적인 건설을 위해서도 제2연륙교 조기건설은 어느때보다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본다.

 ▲인천상공회의소 이수영 회장
제2연륙교의 건설은 인천이 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고 장차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첨단산업유치 등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업이다.
 그러나 2조2천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을 추진하면서 각 부처간의 의견을 조율하지 못하고 지연되고 있다는데 대해 인천경제의 발전과 활성화를 희망하는 지역 상공인의 한 사람으로서 안타까움을 느낀다. 이 문제는 중앙정부가 앞장서서 각 부처간의 이견을 좁힐 수 있는 관련 각 부처간의 협의체를 조속한 시일내에 구성해야 한다. 각 부처와 기관은 자신의 입장만을 고집하지 말고 국민의 편익과 국가의 발전을 위하는 거시적인 시각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협력과 조정에 참여해 조속한 건설을 이뤄내야 한다.

 ▲인천시의회 박형우건설위원회 위원장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개항을 계기로 국제적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그러나 현재 인천국제공항으로 접근하기 위한 도로망체계가 갖춰지지 않아 공항이 경쟁력을 상실할 위기에 놓여 있을 뿐 아니라 인천시민들 조차 공항에 들어가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공항개항을 계기로 자긍심과 지역발전을 기대했던 인천시민들은 공항과 인천의 연계성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크게 실망하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인천시민들의 욕구불만을 해소시켜줄 것으로 보였던 제2연륙교 건설이 군부대이전문제, 경간장 확대문제, 접속도로 사업비 등으로 인해 무산될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하니 자괴감이 앞선다. 제2연륙교의 조기건설을 시민들이 학수고대하고 있음을 잊지말아야 한다.

 ▲인천시 박연수기획관리실장
제2연륙교는 국가 주요시설 접근교량 복수화와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수도권 남부지역, 충청권, 호남권 주민에게 긴요할 뿐 아니라 국제공항의 인천입지 효과를 지역발전과 직접 연계시킬 수 있는 사업으로 현재 민간제안사업자인 영국의 AMEC사가 선정된 후 정부 관련부처와 협의중에 있다.
 그런데 군작전과 선박운항 등에 큰 지장이 없는데도 군부대와 도선사협회가 발목을 잡는 바람에 협의가 지연되고 있다. 이로인해 투자자가 마음을 바꿔 투자계획을 철회한다면 책임을 지겠는가. 국가발전과 지역발전을 위해 군부대와 도선사협회가 요구조건을 철회해 주길 간절히 바란다. 인천시도 건교부가 요구한 접속도로 사업비 분담에 대해 당초 부정적으로 생각했지만 지역발전 등을 위해 일정부분 분담하기로 정책결단을 내린 점을 깊이 인식해 주었으면 한다.

 ▲인천발전연구원 최병국연구원
제2연륙교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왜냐하면 그만큼 국가발전, 지역발전에 꼭 필요한 시설이기때문이다. 공항주변인 용유·무의관광단지가 들어서고 각종 배후지원단지가 들어설 예정인데다 21세기들어 중국의 급부상은 본격적인 서해안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예고한다. 따라서 공항과 서해안을 잇는 유일한 고리인 제2연륙교의 건설은 시급하다. 시기를 놓치면 공항의 허브기능을 중국, 일본, 홍콩 등 다른 나라에 빼앗길 것이다. 더구나 송도신도시에 투자의향을 밝힌 외국인들은 제2연륙교 건설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양해각서를 체결해 왔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인천항도선사회 윤병원 해무이사
앞으로 건설될 제 2 연륙교의 교량, 교각의 위치는 현재 제1항로와 추후 예정 항로인 팔미도 북서출항로와 남항 입출 항로를 피해야 할 뿐 아니라 선박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지점, 즉 항로상 변칙점은 아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제 2연륙교는 남항컨테이너 부두에서 최저 2천700~3천m 떨어진 남쪽에 교량을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판단된다. 교량 폭도 700m에서 800m이상으로 늘려야 통항 선박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연륙교의 교량, 교각 위치 변경은 인천항 입·출항 선박의 안정 운항은 물론 교통 체증, 인천항 기능 확대 등을 위해 필요하다. 정부도 교량 위치 변경에 따른 사업비 증가분 일부를 부담해야 한다. 이렇게 되지 않을 경우 투자비 손실 발생분을 결국 정부가 보전해 줘야하지 않는가.

 ▲인천국제공항 김혁종 팀장
인천공항은 주변지역은 물류기지로서 큰 장점을 갖고 있는 곳이다. 가까운 곳에 인천항이 위치해 있는데다 2단계 건설 용지를 제외하더라도 수백여만평의 면적이 개발 가능한 곳으로 남아있다. 앞으로도 주변 개발을 위한 각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