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녹지비율은 다른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의 녹지비율은 37.7%로 서울(50.4%), 부산(53%), 대구(65%), 광주(47.3%), 대전(61.9%) 등 대도시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시민 1인당 녹지면적도 59.2㎡로 부산(104.3㎡), 대구(222.8㎡), 광주(174.5㎡), 대전(244.4㎡) 등 타 대도시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인천의 녹지비율이 낮은 것은 섬지역을 제외하고 높은 산이 별로 없는데다 각종 개발정책에 밀려 녹지가 날로 파괴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그나마 남은 녹지라도 잘 보전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녹지의 핵심인 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전문가들이 제안하는 것은 휴식년제. 실제로 수원의 경우 내년부터 주 등산로 4개 노선(22.0㎞)을 제외한 부 등산로 6개 노선(14.9㎞)에 대해 3개 구간으로 나눠 3년씩 3차에 걸쳐 부분 휴식년제를 시행하기로 하는 등 산 보전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수원시는 이같은 결정에 앞서 광교산을 즐겨찾는 등산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부분 휴식년제에 대해 66%의 찬성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그러나 인천에선 아직까지 휴식년제를 시도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시는 인천에 인구는 많은데 산이 별로 없어 휴식년제를 실시할 경우, 등산객들의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며 휴식년제 도입에 난색을 표명한다.

시 관계자는 “몇년 전 산 휴식년제 도입을 검토한 적이 있었으나 시민들이 즐겨찾는 산에 대해 통제를 하면 등산객들의 반발을 살 뿐만 아니라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는 지적을 받을 것으로 예상해 추진을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의 이같은 우려는 '기우'일 수 있다는 게 환경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가톨릭환경연대가 지난해 문학산을 찾은 시민 1천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50% 이상의 시민들이 탐방로 일부 구간을 폐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가톨릭환경연대 권창식(31) 사무차장은 “인천지역의 산은 대부분 표고가 낮고 주택가와 인접해 접근성이 편리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 반면 시민들의 발길이 잦아 훼손이 쉽다는 단점도 안고 있다”며 “따라서 더 이상의 산림파괴와 생태계 훼손을 막기 위해선 '일부 휴식년제'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면 휴식년제를 도입할 경우, 시민들의 접근을 막아 또 다른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일부 구간의 탐방로를 폐쇄해 훼손된 자연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보호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시민들 모두가 휴식년제를 원한다 하더라도 당장 휴식년제를 시행하는 것은 어렵다. 국립공원·도립공원과 달리 도시공원은 휴식년제를 도입하거나 등산로를 폐쇄하는 등 등산객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제도개선과 시민의식, 행정기관의 인식전환 등이 맞물릴 때 산은 비로소 본디 모습을 되찾게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