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관의 인천 유치가 실현될 것인가'.

27일 열린 '국립해양관 인천유치 범시민운동협의회'(이하·해유협)의 주요 쟁점은 '더 이상 정치논리에 밀려 국가자원시설을 타도시에 빼앗겨서는 안된다'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날 행사 참가자들은 한결같이 '반드시 국립해양관을 인천에 유치하는데 최선을 다하자'는데 입을 모았다.

이는 인천을 비롯 부산과 여수 등 3개 자치단체가 국립해양관 유치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정치논리가 작용할 경우, 국립해양관 인천유치는 무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의 경우 해양수산부장관이 동삼동매립지와 관련한 현지 주민과의 간담회에서 해양박물관 건립을 약속했고 여수 또한 '2001년 세계해양 EXPO' 유치실패에 따른 심리적 보상조치 차원의 유치논리가 팽배한 실정이다. 다음은 토론회 내용.

▲최승민 한국해양연구소연구책임위원=외국의 주요 항에는 자국민에게 해양사상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해양박물관, 해양과학관, 해양공원, 해양테마파크 등 다양한 형태의 시설 및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부산수산과학관, 부산세계 해양생물전시관, 여수해양수산과학관, 목포 신안유물전시관이 부분적으로 바다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표적 항구이자 개항의 역사성을 갖고 있는 인천항에는 이렇다할 해양친수공간이 없으며 더 나아가 2천300만명이 거주하는 수도권에 바다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해양을 이해할 수 있는 시설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과 서해지역의 해양과학을 체험하고 미래 해양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는 테마 해양관(Ocean Science & Culture Park) 건립이 절실하다.

▲한범수 한국관광학회부회장=바다는 있지만 체험할 수 없는 바다가 수도권의 현주소다. 특히 우리나라 제2의 항만으로 날로 교역이 증가하는 중국과 가장 인접한 곳으로 수도권의 관문인 인천공항이 입지한 곳이기도 한 인천에 해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시설이 하나도 없다는 것은 참으로 부끄럽고 안타까운 일이다.

해양문화에 대한 수요가 그 어느곳보다 큰 수도권에 해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해양문화시설을 설치하자는 논의는 만시지탄(晩時之歎)의 감마저 있다. 정치적인 논리보다 시장수요를 충분히 고려한 적정한 정책대응이 강구되기를 기대한다.

▲조한천(민주) 의원=인천에 국립해양관이 들어서야 하는 근거는 △인천국제공항, 인천항 등의 인프라 및 13억 중국과 2천300만명의 수도권 인구에 따른 위상 △7월1일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앞둔 전 세계 명소로서의 성장 가능성 △동북아 물류중심국가 건설의 아젠다 △115개의 자연섬과 242㎏의 해안선, 세계 5대 개펄, 월미관광특구 등의 무한한 자원 △인천시민들의 의지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특히 인천항이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를 건설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해양과학관은 인천에 유치돼야 한다.

▲이윤성(한나라) 의원=인천은 지난 98년 산업자원부에서 추진한 수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국제무역전시관'을 송도신도시에 유치하지 못하고 경기도 고양시에 빼앗긴 뼈아픈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인천바다에 세계의 바다를 담는다'는 의지로 반드시 국립해양관을 유치해야 한다.

특히 국립해양관 유치 과정에서 정치논리에 밀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시민의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 정치인들도 중앙무대에서 국립해양관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시민단체들도 정보를 공유하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