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총선을 5일 앞두고 인천지역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각 선관위가 유권자들에게 발송할 4대 신상정보 공개자료와 관련해 긴장하고 있다. 선관위가 9일과 10일 인천시내 모든 가정에 재산과 납세 체납, 전과, 병역 등을 담은 후보자별 신상정보를 담은 비교표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같은 후보자별 4대 신상정보 공개는 선거 종반전을 맞아 큰 변수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재산, 납세

인천지역 출마자 58명 중 신고액이 가장 많은 후보는 부평 갑에 출마한 한나라당 조진형 후보. 신고액이 무려 356억1천886만원이고 5년간 납세액도 31억9천758만원에 이른다. 이어 무소속 남구 을의 하근수 후보가 66억2천682만원(5년 납세액 6천332만원)이다. 남동 갑의 열린우리당 이강일 후보는 35억5천171만원(납세액 4억359만원), 무소속의 중·동·옹진 이세영 후보는 31억6천55만원(납세액 2천579만원), 부평 갑의 열린우리당 문병호 후보는 22억8천33만원(납세액 4천971만원)을 신고했다.

반면 계양 갑의 자민련 김유동 후보는 빚 2억8천723만원(납세액 176만원), 남구 갑의 자민련 오흥범 후보는 빚 1억3천만원(납세액 168만원)을 신고했다. 서·강화 을의 민주노동당 최미란 후보도 빚 1억2천631만원(납세액 624만원), 서·강화 갑의 열린우리당 김교흥 후보도 빚 2천250만원을 신고했다. 계양 을의 민주당 정창교 후보와 남동 을의 민주당 권태오 후보는 각각 재산이 없는 것으로 신고했다.

서·강화 을 민주당 김철하 후보의 경우 재산신고 내역은 17억8천680만원이나 5년간 납세액은 788만원에 불과했다. 이와 달리 계양 을의 열린우리당 송영길 후보는 재산 6천만원에 납세액은 재산보다 많은 7천608만원을 신고했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후보들이 세무서 등에서 납세 자료를 받아 제출하지만 석연치 않은 의문을 덜기 위해선 좀 더 구체적인 데이터 제시와 철저한 검증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병역

병역신고 대상은 본인은 물론 18세 이상 직계비속(아들, 손자, 외손자 포함)까지며 병역필, 면제, 병역미대상, 복무이탈, 기피 등으로 나눠 구체적인 사유를 신고하도록 되어 있다. 병역의 경우 유권자의 최대 관심사여서 의도적 면제 의혹이 제기되는 후보들은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이번 선거 출마자 58명(대상자 남 55명)중 병역 미필자는 모두 12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8명은 긴급조치법 위반 등 수형으로, 나머지 4명은 질병과 생계곤란 이유였다.

중·동·옹진의 한나라당 서상섭 후보는 생계곤란, 남구 갑의 한나라당 홍일표 후보는 만성간염 질병, 자민련의 남구 을 김기선 후보는 폐결핵, 부평 갑의 민주노동당 한상욱 후보는 질병으로 군대를 가지 않았다. 이밖에 남구 을의 열린우리당 안영근 후보는 긴급조치법 위반 등으로 군대를 가지 않는 등 8명이 수형으로 병역 미필자로 기록됐다.

한나라당 2명,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각 4명, 자민련과 녹색사민당이 각 1명씩이었다.

◇전과

후보들의 전과기록도 유권자들이 후보를 선택하는 중요한 자료. 하지만 대체적으로 이번 후보들의 전과기록 '질'은 예년에 비해 나아졌다는 게 선과위 관계자들의 평이다.

58명의 후보 중 전과기록 신고자는 모두 16명. 남동 을의 열린우리당 이호웅 후보가 대통령 긴급조치법 위반 등의 전과를 신고하는 등 12명이 민주화 활동과 관련해 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연수구의 자민련 이경자 후보는 식품위생법 위반, 남구 을의 무소속 하근수 후보는 특가법(뇌물) 위반, 계양 갑의 녹색사민당 류태선 후보는 절도 등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각 2명, 열린우리당 5명, 민주노동당 4명, 녹색사민당과 자민련, 무소속이 각 1명씩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