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개최된 `대우자동차 정상화를 위한 인천시민 결의대회'는 인천경제의 기반이 회생불능 상태로 붕괴되고 있다는 위기의식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IMF한파 직후 지역 건설업체 부도사태, 지난해 대우중공업과 대우계열사 워크아웃, 최근 5개 신용금고 영업정지 등으로 계속 비틀거려온 인천경제는 이번 대우차 부도로 결정타를 맞게 됐다. 280여개 협력업체 직원을 포함해 인천지역 전체 고용의 11.2%를 차지하며, 매출과 수출도 18.4%와 20%에 이르는 등 인천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대우차 부평공장의 조업중단이 장기화되면서 협력업체 연쇄도산 등 지역경제 전반이 얼어붙었다. 인천시와 시민들로서는 어떻게든 대우차를 살려야 한다는 절박감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대우차를 살리고 인천경제가 대공황에 빠지는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우차 노사가 말그대로 `뼈를 깎는' 자구안을 하루빨리 내놓는 것이 급선무라고 본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 걱정 때문에 늦어지고 있는 지원을 끌어오는 길은 이 방법 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그간의 경영실패 책임을 이들이 일방적으로 져야 한다는 것은 불합리하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이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을 만큼 한가하지 않고, 회생을 위한 감량은 불가피한 측면도 있는 만큼 자진해서 고통을 감내하는 지혜와 용기를 보여주어야 한다. 주말 결의대회에서 “마른 수건도 다시 짜는 심정으로 구조조정에 나서겠다”고 한 노사 대표의 결연한 다짐이 빈말로 끝나는 불행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정부당국과 채권단에게도 엄청난 충격에 휩싸인 지역경제의 현실을 감안, 필요한 지원이 즉각 이뤄질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촉구한다. 예를 들어 본보 보도(11월18일자 3면)대로 수출차량 운송료 때문에 해외 판매망이 망가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조치가 시급하다. 약 4천만 달러로 추산되는 밀린 운송료로 인해 수출길이 막힌다면 회사를 회생시키는데 결정적 타격을 입게 될 게 뻔하다. 또한 최종부도 직후부터 계속 제기된 문제이지만 협력업체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협력업체들이 절실히 바라고 있는 특례보증 한도를 높이고 절차와 조건을 간소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발표 따로, 실무창구 따로' 식의 생색내기도 이제는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 모든 지원이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제때 이뤄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