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조직을 개편한지 3개월 만에 또다시 조직을 개편해야하는 상황에 놓였다. 한치앞도 내다보지 못한 시의 주먹구구식 행정수요 예측에 조직이 다시한번 혼란과 후유증에 시달릴 판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12월 동북아국제 중심도시건설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1차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그후 올 7월 인천도시개발공사 출범과 경제자유구역지정등에 대비한다는 명분하에 2차조직 개편을 추진, 부서의 통폐합을 시행했다. 그러나 채 3개월도 되지 않아 경제자유구역청 개청이라는 요인이 발생, 시 본청내 일부 부서의 기능축소나 업무통합등의 조정이 불가피해져 다시 조직을 개편해야하는 상황에 놓였다는 것이다.

물론 조직이라는 것은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발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그리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인원의 재편과 업무의 분산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인천시의 경우는 이러한 조직개편의 당위성을 전혀 고려치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자유구역지정으로 인한 관할청등 조직의 신설은 이미 예견됐던 일임에도 불구하고 1, 2차 조직개편때 이를 전혀 반영치 않았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당시 경제자유구역청의 직제나 인원이 확정되지 않아 불가피했다고 변명하고 있으나 설득력이 약하다. 신설청 업무의 중요성으로 보아 조직개편은 인천시 전체의 기능조정 및 인력배분에 관한 기본원칙과 종합적인 계획수립을 선행한후 시행해야 마땅했다.

그래야 본청은 물론 구청과 산하기관, 시투자기관등 준행정기관 전반에 걸친 조직개편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기존 조직의 세밀한 분석과 치밀한 개편계획도 없이 이번에 하고 다음에 또한다는 식으로 조직을 개편한 것은 다룬시점이 적절치 않아 옳지 못하다.

끼워맞추기식 잦은 조직의 통·폐합은 내부갈등은 물론이고 그동안 각부서가 쌓아온 경험이 사장(死藏)되는 등 오히려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 또 담당자들이 본업인 정책개발 등의 업무는 뒷전으로 둔채 조직과 직제, 그리고 인사에 대한 로비에 매달려 정책의 실패를 초래하는 부작용도 낳을수 있다.

조직개편요인이 발생했으면 당연히 시행을 해야한다. 그리고 시행은 전문적인 분석과 합리적인 판단을 토대로 졸속이 아닌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해야한다. 하지만 추후 발생할 행정수요를 정확히 예측, 기능이 중복되는 부서를 정비해 조직의 효율성과 추진력을 높이지 않는다면 시행의 효과는 기대할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