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단체들의 시민운동의 가장 큰 전제는 공신력과 도덕성이다”(조희
연 성공회대 교수). “그 동안 민간단체들의 시민운동은 국회와 정당의 역
할실패로 반사이익을 얻어 성장했다”(김석준 이대 교수). 지난 7월초 경희
대 평화복지 대학원에서 열린 한 시민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이처럼 민간단
체들의 성격을 규정하면서 이들에 대해 겸허한 자기 반성과 신뢰성 회복이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어쩌면 이번 평양 8·15 민족 통일 대축전에 참석한
남측 민간 대표단의 행동을 예견이라도 한듯한 경고성 메시지였던 셈이다.
평양 8·15 축전이 지난주 막을 내리고 이에 참석한 남측 참가자들이 오
늘 돌아온다. 개막식 첫날 당초 가지 않기로 정부에 각서까지 썼던 조국통
일 3대헌장 기념탑 방문은 그 기념탑이 북한의 통일노선을 상징하는 조형물
이었기 때문에 이에 반대했던 정부입장만을 곤혹스럽게 만들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폐막식 참석, 김일성 생가에서의 방명록 기록 내용등 사사건
건 보여준 돌출행동과 이를 둘러싼 남측 방문단 끼리의 반목 분열의 모습
은 초청자앞에서 객들끼리 싸우는 웃지 못할 추태만 보였다는 소식이다.
원래 민간단체의 운동은 정부가 파악하지 못했거나 정책으로 반영하지 못
한 민의를 대변, 시민운동을 통해서 관철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이번 평양에서 보여준 남측 참석자들의 행동은 누구의 뜻이었
는지 의문이다. 특히 통일 문제와 같은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
다. 지금의 정부가 북한과 대화를 하지 않겠다면 몰라도 일부 보수세력의
반대를 무릅쓰고 대북 교류를 활발히 추진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고 정책으
로 적극 반영하고 있는 마당에 이러한 민간단체의 어설픈 행동은 본래의 운
동 영역을 벗어난 자만이 아닌가 싶다. 방북 대표단이 이러한 일련의 행동
에 사과 성명을 내기는 했지만 씁쓰레한 뒷맛은 영 가시지 않는다.
민간단체들은 이제 시민 운동이란 말을 내세우면 민주주의와 사회에 봉헌
하며 권력의 횡포와 보수성에 저항이 될 수 있다고 하는 정형화된 사고에
서 벗어나 이번 기회를 보다 내실을 기하는 전기로 삼아야 할 것 같다. <
성정홍(논설위원)>
평양축전 유감
입력 2001-08-21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1-08-21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