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실주에 금가루를 넣어 만든 금술이 소비자들로부터 폭발적인 호응을 얻자 시중에 금가루 식품이 유행한지 오래다. 서울의 일부 지역에서는 한알에 2천원하는 금가루 김밥에 금가루 초콜릿, 한 잔에 1만원하는 금가루 커피가 있는가 하면 10만원이 넘는 황금 케이크가 있었고 일식집에서는 황금가루 생선회를 판매하는 곳도 있다. 급기야는 황금굴비도 등장했다. 식품 의약청은 뒤늦게 금가루의 식품첨가물 사용 금지조치를 내리고 각 시도에 이의 단속을 지시했다.
금은 예부터 부와 호화스러움의 상징이었다. 술의 신 디오니서스가 마이더스 왕에게 소원하나를 들어주겠다고 물었을 때 그가 가장 갖고 싶다고 대답한 것도 금이었다. 동양에서는 중국 당나라의 이황제 측천무후가 사후 금부처로 환생할 것이라는 아첨배들의 말을 듣고 금가루를 아침 저녁으로 상식했다고 한다.
미국의 남북 전쟁전 노예제도가 시행되던 때 루이지애나의 돈 많은 농장주 찰스 듀란드가 두 딸의 결혼식에 황금가루를 사용한 것은 유명한 일화다. 듀란드는 중국으로부터 수만 마리의 거미를 배로 실어와 저택 입구 1.5㎞ 도로변 나무에 풀어 놓아 거미줄을 치게 한 다음 수백㎏의 금 은가루를 사다 이 거미줄에 뿌려 눈부신 광경을 연출하며 하객들을 맞았다. 지난해 6월 서울 신촌의 한 나이트 클럽에서 열린 슈퍼 엔터테이너 선발대회에서도 여성 참가자들이 머리에 금가루를 뿌리고 나와 사치스러움을 과시한 것은 듀란드의 딸 결혼식에 못지않다고 해야 할 것이다. 금은 이처럼 사치 호화의 대명사다.
그렇더라도 금가루가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건 너무 했다. 금가루는 가로 세로 각 5㎝ 두께 1㎜의 한 장에 몇 백원 할 정도로 가격이 싼 편이라고 한다. 이처럼 싼 가격으로 최고급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으니 상술로서는 아주 그만이다. 의학계는 인체상에 무해 무득한 게 금이라고 말한다. 다만 한의학에서 일부제품에 보습과 오염방지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금가루도 제조과정의 잘못으로 입자가 클 경우 체내에 축적돼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성정홍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