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사회에선 어땠는지 모르나, 적어도 우리사회에선 예부터 혼인상태를 파기하는 이혼은 최대한 억제돼 왔었다. 특히 유교이념에 흠뻑 젖어있던 조선시대엔 이혼이란 말부터가 생뚱스러울 만큼 웬만한 사람들은 상상도 못할 일로 여겨졌었다 한다.
그러나 남존여비(男尊女卑)사상의 지배를 받던 때인지라 남자에 한해서만은 사뭇 많은 재량이 허용됐던 것 같기도 하다. 이른바 칠거지악(七去之惡)이라 하여 아내가 아들을 낳지 못하거나 시부모를 잘 모시지 못할 때, 그리고 투기하거나 말을 많이 하는 등 일곱가지 잘못을 저지르면 내쫓을 수 있다는 자못 희안한 논리가 통용되었던 것이다. 얼핏 생각하면 남편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처(妻)를 내칠 수 있었을성 싶기도 하다. 하지만 이 칠거지악도 여자를 옥죄기 위한 하나의 엄포성(?) 논리에 불과했을 뿐, 갖가지 제약이 많아 제대로 시행되기는 거의 불가능했다 한다.
즉 삼불거(三不去)라 하여 아내가 쫓겨나면 돌아갈 곳이 없다거나, 부모의 3년상을 같이 치렀다거나, 가난할 때 시집와서 뒤에 부유하게 됐다거나 할 때는 비록 칠거지악을 범했어도 내칠 수 없게 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딸이든 아들이든 자식만 있으면 무조건 이혼할 수 없게 하여 사불거(四不去)가 됐다고도 한다. 이래 저래 이혼이란 언감생심이었을 듯싶다.
지금은 세상도 참 많이 변했다. 칠거지악은 물론이고 삼불거든 사불거든 이미 사회에서 빛을 잃은지 오래다. 그토록 억제되던 이혼이었지만, 누군가 주변에서 세번 네번 결혼하고 이혼했다 해도 그저 그렇거니 하고 지나칠 정도로 이혼은 흔한 일이 돼버렸다. 자연히 이혼율도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해 우리 나라에선 모두 13만5천쌍, 하루 평균 370쌍이 헤어졌다고 한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중 당당 3위의 높은 수준이다.
하도 최고만 좋아하다 보니 마침내 이혼 기록마저 최고를 향해 달리는 모양이다. 그것도 과연 자랑스러운 기록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나 저마 그만큼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결손가정들이 자꾸만 마음에 밟힌다. <박건영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