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공화국(자유당 정권), 제2공화국(민주당 정권), 제3공화국(박정희 군부정권), 제4공화국(유신정권), 제5공화국(전두환 신 군부정권), 제6공화국(노태우 정권), 문민정부(김영삼 정권),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권)…. 1948년 대한민국 탄생 이래 이어져온 우리 정부의 명칭들이다.

여기서 보듯 제1공화국에서 제6공화국까지는 숫자로 구분돼 있다. 또 명칭이 바뀌는 건 언제나 헌법개정 이후 들어서는 새 정부에서다. 다시 말해 개헌을 거쳐 새 정부가 들어서면 으레 공화국 앞에 붙이는 숫자가 바뀌곤 했다.

그러나 1993년에 시작된 새 정부부터는 더 이상 제 몇 공화국이라는 이름이 붙지 않는다. 1960년 5·16 이후 30여년 지속되어온 군부 지배가 드디어 끝났다는 데서 나온 결과였다.

그때 새로 들어선 김영삼 정권은 제 몇 공화국 대신 ‘문민정부’라는 이름을 붙여 군부통치 종결의 역사적 의의를 담았다.

따라서 문민정부의 개막은 한국정치가 군부정권 시대의 유산을 청산하고 새로운 민주주의 시대로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것이었다.

뒤이어 1998년 새로 들어선 김대중 정권 역시 진정한 민주주의를 다시 한번 새롭게 다진다는 의미에서 ‘국민의 정부’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보니 지금은 과연 제 몇 공화국인지 조금 아리송하기도 하다.

며칠 있으면 또 새 정부가 들어선다. 그래서 대통령직 인수위는 새 정부 명칭을 공모했고, 총 4천200여건이 접수됐다. 그중 ‘희망의 정부’가 305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 우리의 정부(237건), 열린정부(194건), 참여정부(172건) 등의 순이었다. 하나같이 나름대로 깊은 뜻을 지녔을 뿐 아니라 국민에게 희망을 불어넣어주는 이름들이라 여겨진다.

과연 어느 이름이 붙여질까, 자못 기대 속에 심사숙고한 결과 마침내 ‘참여정부’로 확정됐다. ‘개혁’과 함께 새 시대의 화두인 폭넓은 ‘국민참여’를 국정운영의 기본 축으로 삼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했다.

바야흐로 새 시대가 열리고 있다. 진정 이름에 걸맞는 새 정부가 되기를 새삼 희망을 안고 기대해 본다. / 박건영<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