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이전론이야말로 오랜 세월 분분하다. 후보지만 해도 '60년대엔 도쿄만(灣) 후지산록(麓) 하마나(濱名) 하마마쓰(濱松), 70년대엔 기타가미교(北上京) 기타간토(北關東) 미카와(三河), 최근엔 나고야 고가(古河)주변 도호쿠(東北)광역'이라는 게 1988년 1월3일자 요미우리(讀賣)신문 보도였고 99년말엔 다시 도치키·후쿠시마(福島)와 기후(岐阜)·아이치(愛知)로 좁혀졌지만 미정이다. 천도 방법도 수도의 기능을 강화하는 개도론(改都論), 수도의 기능을 전개하는 전도론(展都論), 수도의 기능을 나누는 분도론(分都論), 고속교통 건설에 의한 확도론(擴都論) 등이 동시에 거론되고 있다. 천도 비용은 20조엔(88년 1월). 놀라운 건 2차 대전 때도 전황 악화와 본토 공습을 염려해 수도를 식민지 서울(京城)로 옮기려 했다는 게 92년 8월13일자 요미우리신문 보도였다.
우리 나라 천도론도 수시로 불거졌다. 고려말엔 “송경(松京)의 기업(基業)이 쇠진했으니 서경(西京)으로 옮겨야 한다”는 요승(妖僧) 묘청(妙靑)의 제안으로 새 궁궐까지 지었다가 무산됐고 조선조 광해군 4년에는 술사 이의신(李懿信)이 “병란(兵亂)과 변고가 꼬리를 물고 도성의 산들이 벌겋게 벗겨진 것은 한양(漢陽)의 지기(地氣)가 쇠진한 탓”이라며 교하(交河) 천도를 주장했다. 한데 그의 주장에 대한 승정원 기록은 한 마디로 '해괴하기 짝이 없다'는 것이었다.
55년 쿠비체크 대통령 후보의 선거 공약에 따라 60년 4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브라질리아로 옮겼으나 94년부터 다시 논란에 휩싸인 브라질처럼 섣부른 천도론이란 그야말로 해괴하기 짝이 없는 것일 수도 있다. 천도라는 역사적인 대사를 일개 대통령 후보의 선거 공약이나 일개 정부가 함부로, 섣불리 정하고 옮길 순 없다. '서울→코리아'로 굳어진 이미지 훼손도 위험하다. 행정수도 특별법의 본회의 통과 여부가 주목거리다. /吳東煥(논설위원)
수도 이전론
입력 2003-12-10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3-12-10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