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들 지역은 정부의 신도시후보지로 거론(남양주)되거나 성남 판교지구 등 인근 지역에 대단위 택지개발이 추진되면서(광주) 공장부지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7일 남양주시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3년간 이뤄진 농지전용현황 가운데 주택은 1천76건이고, 공장은 648건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면적으로 보면 공장이 96만4천㎡로, 주택 55만4천㎡의 거의 2배에 육박하는 규모다. 특히 지난 2000년 한햇동안 123건, 19만4천㎡로 잠시 주춤했던 농지의 공장부지 전환추세도 지난해 2배가 넘는 153건, 면적은 44만7천㎡에 달해 다시 급증 양상이 됐다.
광주지역 사정은 더 심해 지난해 농지전용허가 규모는 총 2천919건에 면적은 261만2천㎡에 달하고 있다. 시는 이중 주택이 약 3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사실상 공장이나 다름없는 창고, 제조장이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산림도 비슷한 실정으로 남양주시 금곡리와 광주시 무갑리, 회덕동 일대의 웬만한 야산마다 수십개의 창고형 공장들이 들어서 있고, 최악의 경제불황이라는 상황이 무색할 정도로 곳곳에 수천평 규모의 야산이 무참히 파헤쳐져 새로운 공장부지가 조성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한햇동안 남양주와 광주지역에는 각각 145개와 301개의 공장설립이 추진되는 등 좀체 기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는 남양주의 경우 정부의 수도권 조성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고, 광주는 신도시 개발이 확정된 성남 판교와 화성 동탄 등지에서 공장들이 대거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올해부터 도시 및 비도시지역내 건축기준을 대폭 강화한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국토계획법)이 시행되면서 일부 얌체기업들이 미리 부지확보에 나선 것도 또 하나의 이유로 꼽히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법 시행을 앞두고 미리 허가를 받으려는 사람들의 숫자가 크게 늘은 것 같다”며 “이 가운데 일부는 당장 기업활동을 하기보다 일단 부지부터 확보하자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