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을 '동북아 물류중심도시' 로 발전시키려면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제4접근로 건설을 서둘러야 한다. 왜냐하면 물류중심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교통인프라 확충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기 때문이다.

지난 2003년 10월 인천 경제자유구역청은 '동북아 경제국가건설'이란 커다란 사명을 띠고 출범했다. 최근 노무현 대통령도 연두기자회견에서 “동북아 경제중심 전략과 차세대 성장산업 육성, 시장개혁 프로그램도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가겠다”며 “서울은 국제금융과 비즈니스의 동북아경제수도로, 경기도는 전자, IT산업이 주류를 이루는 첨단 경제거점으로, 인천은 동북아 물류와 외국인투자 중심도시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경기 시·도민들의 입장에서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 경제자유구역청을 개청한지 3개월이 지난 지금 “자유구역청이 일개 지자체 일개사업소로 전락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후속조치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중앙정부와 청와대는 이러한 우려의 목소리를 정확히 파악해 '투자와 개발'이라는 경제자유구역청의 고유 업무를 회복하는 등 재정·행정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또한 인천을 동북아 물류와 외국인투자 중심도시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는 노 대통령의 구상은 매우 의미있는 것인 만큼 시급히 처리되어야 할 사안이며, 그것의 실천은 무엇보다도 교통 인프라 확충에 두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지금 건설 중인 인천국제공항의 제2, 제3접근로인 신공항철도와 제2연륙교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또한 사후대책 방안도 강구하는 한편 꾸준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특히 제2공항철도와 관련해 지난 2001년 2월 건설교통위원회 상임위장에서 당시 고속철도공단 채영석 이사장은 '인천국제공항 제4접근로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공감하는 입장을 표한 바 있다.

또한 2001년 4월 상임위에서도 당시 건설교통부장관이었던 오장섭 전 장관은 “인천국제공항의 제4의 접근로 추진을 위해 건설교통부, 인천시, 관련 부처와 협의하겠다”면서 “주무부처인 건교부에서 광역교통망계획 수립시 인천국제공항이 국제공항으로서의 손색없는 면모를 갖출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한 바 있다.

이후 2001년 12월 인천국제공항과 고속철도 광명역을 잇는 제2공항철도 건설계획이 '수도권 광역교통망계획'에 반영됐다. 이처럼 인천국제공항 제4 접근로의 확보는 인천공항의 흥망과 관련된 것으로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경제국가건설'의 중심에 있는 것이다.

향후 인천국제공항과 그 주변지역의 교통인프라 확충은 국가적 경제발전에 중대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을 누구나 판단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동북아 경제국가로서 성공을 위해, 인천의 동북아 물류와 외국인투자 중심도시로의 발전을 위해, 그리고 인천 경제특구의 성공을 위해 제1연륙교·신공항철도·제2연륙교에 이은 인천신공항∼인천∼소래∼고속철도 남서울역 간 제4 접근로의 필요성은 절실하다. /이윤성(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