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원자력위원회에서 발표한 방사성폐기물처분장 부지 선정에 대한 기사를 읽었다. 환경단체와 반핵단체는 정부의 핵 확산 정책이라며 방폐장 건설 저지를 위한 강경 투쟁을 선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안면도를 시작으로 굴업도, 최근 부안까지 20년 가까이 허송세월을 보내며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 상황에서 또 다시 환경단체와 반핵단체의 맹목적인 강경투쟁 선포는 시대의 흐름에 어긋나는 처사라 생각된다.
방폐장, 원자력발전소, 새만금 방조제 사업 등 우리나라의 대규모 국책사업의 진행과정을 보면 사업 시작도 못하고 환경·반핵단체의 반대와 이해 당사자 간의 첨예한 대립 속에 장기간 지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008년이면 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성폐기물 임시저장고가 포화상태가 된다고 한다. 방폐장 건설 기간만 최소 4~5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부지선정 조차 못한 상태에서 또 다시 환경·반핵단체와 정부와의 힘의 대결이 반복된다면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이 주장하는 논리와 이치에 맞지 않는다 해서 무조건 반대하는 것보다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국가 경쟁력과 국민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회단체와 지자체들이 동참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윤은숙 (서울시 성동구 마장동)
방폐장 무조건 반대보다 현실적인 대안제시를
입력 2004-12-21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4-12-21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