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시설은 물리적인 교육환경으로서 교육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교육의 목적을 달성시키는 전제 조건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시설은 단순히 학생을 수용하는 건축물이 아닌 교육을 담는 그릇이며 도구로서, 지역사회 발전 및 문화예술의 중심부 기능과 역할을 다하여야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지역주민의 사회활동이 활성화되고 있으므로 학교 설립은 지역사회가 학교발전에 기여할 요소와 학교가 그 지역사회에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를 연구, 검토해야 한다.

 또한 학교가 지역주민들에게 굳게 닫히고 '상아탑적인 존재'를 자랑했던 시대에는 교회와 사원 등 종교시설이 '커뮤니티 센터(Community Center)'역할을 담당하고 인생관, 가치관, 지식, 기술 등을 전파했으나, 오늘날에는 다양한 종교를 포용하고 근린 주구중심에 위치한 학교가 그 역할을 대신하여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학교가 지역사회 문화와 사회활동의 구심점임은 물론 나아가서는 사회개선과 복지향상에 이바지하는 역할을 다해야 한다. 학교는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지역 주민에게 개방돼야 할 것이다.

 미국 미시간주 '플린트 프로그램(Flint Program)'은 1920년대에 성행했던 커뮤니티 센터의 시민운동으로, 공립학교의 교사이용을 중심으로 근린생활 규모단위의 지역활동을 장려하는 것으로 포괄적이고 적극적인 커뮤니티 센터의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의욕적으로 시도하여 성공했다.
 커뮤니티 교육의 보급지도는 'Center For Community Education Development'에서 관장하여 주립대학의 협력아래 각 지역의 커뮤니티 교육활동의 리더를 훈련시키기도 하고, 현장 안내자료, 필름의 작성, 출판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도 커뮤니티의 발달로 근린 생활권내에서 지역주민이 공동 이용할 수 있는 사회교육설계, 사회체육설계, 사회복지설계 등과 같은 교육기능의 관련시설을 초·중등학교 시설에 복합 계획되어 서로 공동 이용하고 있는 형태로 발달해 왔다.

 택지개발지구내의 학교 건축물은 5층으로 계획되고 있으나 저학년의 교실은 출입 등 아동 특성상 1~2층이 바람직하고, 고학년은 6~10층으로 고층화한다 해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홍콩의 유신영문중학교의 경우, 복합기능 건축물의 하나로 상가에 위치하여 1층은 상점, 2층은 임대사무소, 3~5층은 학교, 6~14층은 아파트로 고층 복합건물로 구성돼 있다.

 학교용지 확보가 어려운 우리나라는 학교시설의 복합, 고층화를 고려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 할 수 있다. 학교설계복합화 계획은 도시지역에서 부족한 토지와 시설의 고도활용으로 환경의 개선과 지역사회 시설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초·중등학교의 재정확립의 한 방안이며, 또한 이웃에 만날 수 있는 지역 공동시설이 제공되어 지역주민의 유대강화에 기여하여 지역사회발전과 더불어 학교시설의 개선과 보완에 합리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교육시설의 복합화는 학교시설이 지역사회의 공동시설로서 교육목적 달성과 더불어 부족하고 낙후된 학교시설을 향상시키고,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지역사회 기반시설의 확충이라는 관점에서 초·중등학교 시설의 복합화는 국가나 지방자치의 국민교육적 차원에 적극 추진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 양 섭(경기도교육청 시설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