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인 5일에는 강원도 양양군과 고성군, 충남 서산시, 경북 예천군, 충북 제천시, 경기도 가평군 등 전국 23곳에서 크고 작은 산불이 나 귀중한 산림을 훼손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양양군의 경우에는 '천년고찰' 낙산사가 거의 전소되고 가옥 160채 등 건물 232개 동이 불에 타 버렸다. 전국적으로는 약 240㏊의 임야가 탔으며 116가구 371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번 산불이 대형화한 것과 관련, 일부에서는 벌써부터 산불대응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소방당국과 산불진화대원들은 산불전문진화대 육성과 진화기관의 일원화, 야간 산불진화 시스템마련 등을 꼽았다. 봄과 가을 산불발생 우려가 높은 시기에 대비해 기존 행정기관 공무원 위주로 구성하는 산불진화대가 아닌 전담 산불전문지화대를 구성,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이번 양양산불처럼 일몰 후 발생하는 산불에는 속수무책인 만큼 야간진화용 헬기확보와 강풍에 투입할 수 있는 초대형 헬기를 전진배치하는 야간진화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와함께 민관군을 포함해 1만여명이 넘는 인력이 동원됐으나 지휘체계가 제각각이어서 효율적인 진화작업을 펼치기 어려웠다는 지적도 제기돼 산불진화 기관의 일원화도 시급히 검토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어떻게든 정부에서는 이번 산불과 관련해 갖가지 대책을 내놓을 것이고 각계 전문가들은 시스템구축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에 정부가 내놓을 대책이 어떤 내용이던간에 대형사건·사고때마다 되풀이되어온 여론 무마용, 또는 땜질 처방용으로 그쳐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매년 수해가 발생할때마다 정부는 갖가지 대책을 내놓고는 있지만 수해는 매년 되풀이되고 있고 국민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성수대교 붕괴(94년) △대구지하철 가스폭발(95년) △삼풍백화점 붕괴(95년) △씨랜드 화재(99년) △대구지하철방화(2003년) 등 대형참사때마다 정부는 숱한 대책을 내놓았다.
 
그 결과 제도개선, 기구신설 등 외적인 부분에서는 실제로 많은 변화가 이뤄졌으나 아직까지도 운용과정에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중 지난해 6월 소방방재청의 신설로 현재 일부 지자체에 만들어지고 있는 재난관리과의 경우, 이미 예전에 설치돼 운용돼 오던 부서다. 물론 일부 지자체에서는 재난관리과를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정부는 지난 95년 7월 재난관리법을 만들고 당시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산하에 재난관리국을 신설했었다. 그러나 98년 외환위기가 닥치자 재난관리국을 재난관리과로 축소하고 인원을 대폭 줄이는 등 재난에 대한 투자를 우선적으로 축소했다. 물론 일부 지자체의 재난관리과도 그 시기를 같이하며 슬그머니 자취를 감췄다. 그리고 정부는 다시 지자체의 재난관리과 신설을 추진했다.
 
이번에는 정부의 대책이 공염불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소를 잃기 전에 외양간을 고치는 것이 당연하지만 만약 소를 잃었다면 다시 소를 잃지 않도록 외양간을 든든하게 고치는 모습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