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수능시험 부정행위 파문, 일선 학교의 내신부풀리기에 이은 대학의 고교등급제, 사립학교법 개정 논쟁, 교육자치의 일반행정 통합 주장 등 지난해 교육계는 기억하고 싶지 않을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시끄러움의 연속이었습니다. 교육의 신뢰도가 끝없이 추락한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교육의 본질은 뒤로 한 채 곁가지로 나타난 문제들로 인해 신뢰를 잃은 데다 모든 사안마다 교육당국은 물론 교원 학부모 학교 등 교육주체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주장을 펴고, 시민단체와 언론도 나름대로 이 싸움(?)에 끼어들었지만 특별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서로 상처만을 남긴 느낌이 듭니다.

게다가 교육이 사건의 중심에 자리잡으면서 국민의 신뢰는 추락하고, 교육주체들의 주장은 팽팽하게 평행선만을 달려나가 어려움만 더해갔습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인지라 하루 아침에 무슨 개선책이 나온다고 해서 당장 효과를 거두기도 힘들고, 정책당국만 우왕좌왕하게 되는 경우를 많이 보아왔습니다.

수능부정 사건에 있어서는 하루 아침에 교육의 정직과 신뢰를 저버리게 함으로써 교육의 근본 목적의 하나를 달성하지 못한 '교육의 실패'라고까지 비난받았습니다. 학교는 학교 나름대로 제자들의 앞날을 위해 너도나도 '내신부풀리기'에 앞장선 것은 우리 교육의 구조적인 모순 때문이라는 것에 그 누구도 이의를 달지 않습니다.

이제 우리 교육계의 화두는 신뢰회복입니다. 교육주체들이 나서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교육의 미래는 암담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대학이 고교를 못 믿고, 고교가 대학을 못 믿으며 또한 교사와 학부모, 교육관련단체들간에 서로를 믿지 못하는 풍토 아래서는 아무리 좋은 개선책이 나오더라도 그것은 공염불에 그칠 뿐입니다.

신뢰가 없이는 현재 첨예하게 대립돼 있는 사립학교법 개정, 교원평가제 도입, 대학입시제도 개선안, 평준화 개선책, 영재교육, 대학간 통폐합 논의에 따른 대학 구조개혁 등 굵직한 현안들과 정책들이 또다시 부딪쳐 교육은 또다시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말 것입니다. 경기교육에 있어서도 4월에 치러질 교육감선거를 비롯해 학교신설, 학력향상, 농어촌교육환경개선 문제 등 숱한 현안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해집단간의 반목과 질시와 갈등은 교육계에서 하루속히 추방돼야 합니다.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대화와 타협은 교육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첫 걸음이므로 새해에는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라도 신뢰회복은 꼭 이뤄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