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기에 강제동원됐던 피해자의 명예회복을 추진하기 위해 피해접수를 받은 결과 인천지역에서는 모두 4천750여명이 접수했다.

인천시 자치행정과 일제피해조사팀이 위원회의 사무를 대행해 2차례에 걸쳐 접수를 받은 결과 1차땐(2005년2월1일~2005년 6월30일) 4천390명이, 2차땐(2005년 12월1일~2006년 6월30일) 363명이 접수했다.

노무자로 동원된 피해자가 3천18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군인 1천53명, 군속 512명, 위안부 8명 순으로 나타났다. 접수 명단엔 한 동네에서 함께 징용됐던 친구 명단이 나란히 기재돼 있는가 하면 괌·사이판 등 태평양전쟁의 주무대가 됐던 남양군도에서 비행장 건설공사에 동원된 피해자도 있었다.

1943년 2월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에 살던 안수동·허은(82)씨는 이 마을의 친구였다. 이들은 당해 2월 송해면사무소에서 순사(경찰)의 징집 영장을 받고 부산을 거쳐 일본으로 끌려가 북해도 구미야마 지역에서 군수물자를 숨기기 위한 땅굴을 파는 일에 동원, 2년9개월을 노역했다.

해방뒤 1945년 11월 부산으로 귀국했지만 성한 몸이 아니었다. 안수동씨 넷째 아들인 안순섭(50)씨는 “(아버님이) 젊음을 그 곳에서 다 바쳤고 노역으로 허리도 다쳤다. 정부의 관심도 적은데다 때지나면 잊혀져 섭섭함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만선(91)씨는 1941년 8월 처자식과 함께 경기도 부천시 영흥면 선재리 선재앞바다에서 바지락, 굴 등을 채취하고 밭·논농사를 짓고 살던 중에 강제 동원됐다.

영흥면장의 환송인사를 받고 일본 헌병의 감독하에 인천·서울·부산을 거쳐 남양군도에 도착한 이씨는 남양군도로 가는 선상에서 태평양전쟁 발발 소식을 들었다. 이후 이씨는 남양군도 도락쿠도에서 해뜰때부터 해질때까지 비행장과 교량건설에 투입됐다. 정부는 강제동원희생자에 대한 국가차원의 지원금 지급을 골자로 하는 일제강점하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