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동구 화수부두. 날로 쇠퇴해가고 있는 인천수산업을 말해주듯 썰렁하기만 하다. /임순석기자·sseok@kyeongin.com
동북아 물류중심도시를 향해 달려가는 인천에 수산업이 그늘을 지우고 있다. 인천의 수산업이 주저앉고 있는 까닭은 수산자원이 고갈됐기 때문이다.

수십년에 걸쳐 진행된 갯벌매립과 바닷모래 채취, 무분별한 남획이 수산자원을 고갈시켜 인천의 수산업을 막다른 골목으로 내 몰고 있다는 게 수산업계와 관련기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황금어장에서 황폐한 어장으로=인천의 갯벌이 대규모로 매립되기 시작한 건 지난 1980년대부터였다. 서구 수도권쓰레기매립지와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 인천국제공항, 남동산단, 송도국제도시 등이 모두 매립으로 태어났다. 매립규모는 현재 강화와 옹진을 제외한 인천면적 315㎢ 중 약 35%에 해당한다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매립지는 앞으로 더 늘어날 예정이다. 매립은 어업인구 감소와 함께 수산물 생산량 하락으로 이어졌다. 옹진군 덕적도와 자월도, 선갑도 인근 해역에선 지난 1984년부터 2004년까지 바닷모래가 채취됐다. 20년간 채취된 바닷모래는 무려 2억2천200여㎥에 이른다. <표 참조>

공유수면관리법은 지방자치단체가 바닷모래 채취허가를 내주고 받는 점·사용료(공유수면 점유, 사용에 따른 비용) 수입 중 50% 이상을 수산자원조성을 위한 사업에 쓰도록 정하고 있지만 옹진군은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다.

옹진군 관계자는 “바닷모래 채취가 어장에 어떤 피해를 주는지에 대한 정확한 연구결과는 나오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며 “치어방류 등은 금액이 크지 않아 사용료 수입 중 50%를 자원조성에 투입하는 건 어려운 일”이라고 밝혔다.

어민들은 서해 특정해역이 이미 쓰레기장이 됐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한때 꽃게를 잡았던 한 어민은 “불과 얼마전 꽃게가 잘 잡히던 때만해도 잡는 게 중요했지 그물 등을 바다에 버리는 건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수산업 어디로 가야 하나=수산자원 회복이 가장 절실하다는 부분에 수산업계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달 말 열렸던 항만공항물류분야 `2007년도 예산정책 시민토론회'에서 인천수산인협회 김광익 회장은 “생산과 보관, 유통, 판매 등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 생산”이라며 “결국 수산자원을 살려야 하지만 현재 시의 예산 가지고는 어림도 없다”고 쓴소리를 했다.

인천수협 관계자는 16일 “동해에선 해군의 도움을 받아 자원회복을 위한 대대적인 어장청소를 진행했다”며 “어민들 스스로 책임이 있기에 해군 등에서 도와만 준다면 우리 어민들이 나서서 말끔히 대청소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낭장망과 연안개량안강망 등 발달된 어구를 이용한 조업이 어장 황폐화에 한몫을 하기에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수산관리과 노한철 과장은 “이런 어구들은 바닥을 긁듯이 치어들까지 남김없이 잡아들이는 게 문제”라며 “어족자원이 한정돼 있다면 어민들의 기본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어선수를 감척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