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학과

원예학과

산림자원학과

인천

-

-

-

경기

5

6

1

서울

6
(대학원 포함)

6

5

부산

2

1

-

대구

1

2

1

울산

-

-

-

대전

3

3

1

광주

2

2

1

강원

3

4

2

충북

1

1

1

충남

7

6

1

경북

6

7

3

경남

2

2

2

전북

3

4

2

전남

4

3

1

제주

-

2

-

특정 지역에서 어떤 한 분야의 인력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은 그 지역 사회 전반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게 마련이다. 특히 녹지·생태 사업과 관련해선 더 그렇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인천에선 녹지·생태 분야 인력 인프라 부족현상이 초등학교에서 대학, 그리고 사회로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인천지역 초등학교에서는 `재량활동 시간'에 환경 쪽 교육을 받는다. 재량활동의 총량은 1년에 34시간이고, 이 중 환경 분야는 말 그대로 개별 학교 `재량'에 맡겨져 시교육청에서도 정확한 시간 파악이 안될 정도다. 인천시 환경교육시범학교로 지정된 서구 가정초등학교의 경우 모든 학생이 환경과 관련한 재량수업을 받고 있다. 텃밭에서 작물을 키우고, 각종 나무와 연못생태계 등을 관찰한다. 문제는 전담 교사가 없다는 점이다. 담임선생이 해당 시간에 `환경 교사'가 되는 식이다. 그렇다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환경·생태 분야 재교육도 활발하지 않은 상태다. 교사가 알아서 공부하지 않으면 그만인 현실이다. 학생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리 없다.

이런 상황은 대학입시에 가까워지는 중·고등학교에 가면 더욱 심하게 되고, 지역 대학에 입학해서는 관련 학과가 개설돼 있지 않아 원천적으로 수업기회마저 박탈당하게 된다.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생태계가 무엇이고, 사람은 그 속에서 어떤 구실을 해야 하는 지 등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지 않은 어른의 불찰은 지역사회가 그대로 떠안고 있다.

지역 대학에 도시녹화와 관련한 학과가 전혀 없다보니 교수 등 연구자들의 활동무대는 인천이 될 수 없다. 이는 자연스럽게 인천지역 녹화 분야 데이터 부족 현상으로 이어진다. 최근 인천시는 도심녹지율이 크게 높아졌다고 발표했지만 구체적 자료는 제시하지 못했다. 또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반박 등 확실한 평가를 하지 못했다. 데이터가 없기 때문이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지역의 조경분야 설계수준이 취약해진다는 점이다. 조경설계회사 대부분이 서울과 경기도에 있지만 그나마 인천에 있는 몇몇 회사는 간단하고, 저렴한 수준의 설계만 맡을 정도다. 설계인력 수급이 원활치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도심녹화사업이 내실있게 진행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인천에서 대대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학교공원화 사업에서도 이같은 우려는 현실이 되고 있다. 학교 교장의 입맛에 따라 숲이 조성될 여지가 많다고 교육현장에서는 걱정하고 있다.

초등학교 한 현직교사는 “학교공원화 사업 대상학교로 선정된 학교에서 교장과 해당교사가 사업 방향을 놓고 다투는 것을 자주 봤다”면서 “전문성이 없는 상황에서는 시공업자 선정 등 모든 분야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털어놨다.

지역에 많은 전문 인력풀이 유지되고 있다면 이런 문제는 해소될 게 분명하다.

인하대와 인천대 등 지역 대학의 도심녹화 관련 학과 신설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인천 전역을 국제도시에 걸맞는 친환경 생태도시로 구현하겠다는 시의 구상이 제대로 들어맞기 위해선 관련 분야 전문가가 지역에 뿌리내리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와 교육당국은 이제라도 녹화·생태 분야 인력 인프라 확충 작업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책상에서만 오랜 경력을 쌓은 공무원들의 재교육에 힘써야 하고, 교육청은 환경·생태 전문 인력을 교육현장에 배치해 생태교육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