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오전 인천시 부평구보건소를 찾은 GM대우 부평공장 근로자들이 식중독 증상에 대한 검사를 받고 있다. /임순석기자·sseok@kyeongin.com
GM 대우 부평공장 집단 설사환자 발생 사고와 관련, 회사측의 늑장대처가 대형 급식 사고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인천시가 부평공장 의무실 진료기록을 확인한 결과, 부평공장에서는 지난 10일부터 설사환자가 발생했다. 10일 6명을 시작으로 11일에는 70명, 그리고 12일 오전까지 117명이 설사 증세로 의무실에서 진료를 받았다. 20명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병원치료를 받은 전모(44)씨는 “11일 새벽부터 설사와 열이 나고 오한 증세까지 나타나 치료를 받았다”며 “그날 저녁부터 토요일인 12일 아침까지 식사를 전혀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GM 대우측은 설사 환자가 200명을 넘어서던 지난 12일 오전 11시가 돼서야 부평구보건소에 신고했다. GM대우측은 “여름철이라 설사환자는 더러 있었던 데다 의무실을 찾은 이들이 감기 등을 호소해 보건당국 신고가 늦어졌다”며 “11일 저녁에서야 집단설사가 급식과 연관돼 있을 것으로 판단해 다음날 오전 보건소에 신고했다”며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은폐 의혹을 부인했다.

하지만 관련법상 여름철에는 설사 환자가 2명 이상 발생하면 즉시 보건당국에 신고하게끔 돼 있어 GM대우측의 해명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학교급식 사고 이후 집단급식시설에 대한 위생관리가 강화된 직후여서 대형 급식사고 발생에 따라 쏟아질 비난여론 등을 의식해 신고가 늦어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시 관계자는 “10일 발생한 설사 환자는 이번 급식사고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며 “그렇지만 설사 환자가 급속히 늘기 시작한 11일에는 보건당국에 신고를 했어야 하는데 회사측의 대응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번에 급식사고가 난 부평공장 제2 구내식당은 공장내 3개 식당 가운데 한곳으로, 점심과 저녁을 합쳐 4천700명 가량이 급식을 하고 있다.

제1 구내식당과 함께 회사측이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조리과정 등 위생점검과 관리에 노동조합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자재는 외부 전문업체로부터 공급받고 있는데 회사측은 “설사 사고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업체명이 공개될 경우 선의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관련 내용을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루평균 수천명이 이용하는 제2 구내식당의 운영을 역학조사 결과가 나올때까지 잠정 중단키로 결정함에 따라 회사측은 제1 구내식당 및 외부업체에 위탁중인 제3 식당의 배식시간을 조정하는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