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대학교수와 환경단체 실무자 등으로 구성된 인천환경원탁회의 구성원 19명은 최근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를 방문, 하천살리기와 재활용 정책 등에서 인천시가 나아갈 바를 모색했다. 경인일보는 일본 요코하마 사례를 중심으로 인천시가 현재 추진중인 하천살리기 등 각종 환경관련 정책을 되돌아본다.〈편집자 주〉
민·관이 하천계획에서부터 정화단계까지 합의를 통해 20여년간이 넘는 기간동안 하천살리기를 추진한 오오가와 하천·환경정화는 단기간의 정책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음을 보여준 단적인 예가 되는 지역이다.
지난달 15일 오후 4시께 환경원탁회의는 요코하마의 도심 속에 위치한 오오가와 하천 부근에 도착했다. 이곳은 인근의 아파트와 쇼핑몰에서 돌계단을 내려가면 바로 하천 중류에 접할 수 있었다. 돌 징검다리 외에는 다른 인공시설이 없는 하천을 따라 양편에는 빈틈없이 무성한 풀들이 자라고 있었다.
고층건물로 둘러싸여 있는 하천 하류 부근에는 콘크리트가 아닌 나무판으로 넓은 난간을 만들어 도심 속을 지나는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하천 속을 볼 수 있도록 바닥 곳곳에 관찰창을 만들고 나무계단과 의자를 설치해 쉴수 있도록 했다. 항구도시의 특성을 살려 과거의 축대 일부를 그대로 보존해 두기도 했다. 개항이전에는 작은 어촌 마을이었던 이곳은 고깃배들이 정착하면서 마구 버린 쓰레기들로 가득찬 곳이었다. 또한 이 하천은 비가 올때마다 범람이 잦아 인근 주민들의 삶을 위협하기도 하고 육지의 오염물들이 함께 휩쓸려가면서 여름철에는 하천의 오염이 더욱 심각해져 시궁창 냄새가 나던 지역이다.
이제 이 하천은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을 통해 현재는 BOD 3.4ppm으로 2급수(기준 BOD 3.0ppm)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었다. 원탁회의 회원들은 “이 하천은 생활하수 연결통로와 연결된 합류식으로 돼 생활쓰레기의 일부가 걸러지지 않고 합쳐질 수 있다”며 “이것을 개선하면 하천이 더욱 정화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요코하마 환경창조국 공무원은 “하천 정화계획을 세울 때 주민들과 정기적으로 회의를 거쳐서 주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며 “현재도 매달 주민들이 나와 하천 청소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곳에는 9개 시민단체가 네트워크를 이뤄 24년여 전부터 하천 보호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편, 지역정책 수립과정에서부터 인근 주민과 시민단체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수렴된다는 점은 원탁회의의 주목을 끌었다.
굴포천 등 인천의 하천들은 1990년대 초반 BOD가 40~50ppm을 넘어 공업용수(BOD 10ppm이하)로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게 오염된 상태였다. 인천에서도 일본에 비해 늦은 감은 있지만, 굴포천 살리기 시민운동을 시작으로 지난 2003년부터 전국 최초로 민·관이 함께 `하천살리기 추진단'을 구성해 정화사업을 추진중이다. 내년말께 정화사업이 단계적으로 마무리되면 BOD 5ppm이하의 깨끗한 물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다만 하천마다 네트워크를 이뤄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에 비해 공청회나 간담회 등에 참여하는 주민들은 극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세국 인천지속가능경제연구소 소장은 “주민과의 협의과정을 비효율적으로 여길 수도 있는데 오랜시간과 많은 비용을 감수하면서도 민·관이 합의한다는 것이 인상적”이라며 “아직 우리는 정부와 시민단체가 입장차만 확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협의를 통해 더 나은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요코하마
상>